본문 바로가기
[eBook] 문화비평과미학
문화비평과미학 표지

최연희, 정준영 지음
파일크기 : 30.2(MB)
파일포맷 : EPUB,PDF
2016년 08월 01일
워크북
대여 : 7,950 원 (180일 , 50%↓)
판매 정보
판매상태
정상
정오표
확인하기

이 책은 예술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인식되었고, 대중문화를 어떻게 수용해야 할지에 대해 생각해 보는 책이다. 먼저, 1부에서는 예술에 대한 인식의 역사적 변화를 추적한다. 사실, 예술의 범주가 자리 잡게 된 것은 기껏해야 18세기 이후의 일이다. 그 이전까지 예술은 기술의 범주와 별로 구분되지 않았고, 예술의 범주에 포함되는 활동 역시 오늘날과 많은 차이를 보인다. 예술의 목적과 의미도 오늘날과 달랐으며, 심지어 예술이라는 용어조차 확립되어 있지 않았다. 2부에서는 대중문화를 포함해 넓은 의미의 문화에 대해 접근하는 방법으로서 문화비평에 대해 다룬다. 문화비평은 기본적으로 예술비평에 뿌리를 두는 것으로, 예술의 비평 방법을 광의의 문화현상을 설명하고 이해하는 데 확대 적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비평이 예술비평에서 파생된 것이라는 점에서 1부와 2부의 내용은 다소 중복되는 부분도 있지만, 대상과 관점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둔다면 두 부분 사이의 차이를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부 미학의 체계와 그 역사적 흐름

 

제1장 예술 개념의 역사

1.1. 예술 개념의 역사

1.2. 근대적 파인 아트 체계의 성립과 그 의미

 

제2장 근대 사회와 예술의 관계

2.1. 근대·근대성의 개념

2.2. 근대 사회의 특성

2.3. 계몽주의 운동을 통해 본 사회역사적 모더니티

2.4. 근대 사회와 예술의 관계

 

제3장 근대 미학의 중심 문제로서의 ‘미’

 

3.1. 미 개념의 역사

3.2. 근대 미학

 

제4장 미 개념의 변천

4.1. 미 개념의 변천 : ‘미’로부터 ‘미적인 것’으로

4.2. 미적 태도론

4.3. 미적 체험에 관한 미학 이론들

4.4. 미적 태도와 미적 대상 사이의 역동적 관계로서의 미적 체험에 관한 일반적 고찰

4.5. 미 개념의 퇴조와 현대 미학의 새로운 중심 문제

 

제5장 근대적 예술 개념의 성립과 미적 모더니티

 

5.1. 근대적 파인 아트 체계와 예술에 대한 고전적 개념

5.2. 낭만주의 예술과 근대적인 예술 개념의 성립

5.3. 사회역사적 모더니티와 미적 모더니티의 관계

5.4. 현대 모더니즘 예술

 

제6장 순수예술과 대중문화의 대분할

 

6.1. 대중사회의 형성과 대중매체의 발전

6.2. 대중문화의 형성과 그 특성

6.3. 대중문화와 순수예술의 대분할

6.4. 대중문화에 대한 아도르노와 벤야민의 논의

6.5. 대중문화의 측면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미학

 

제7장 아방가르드 예술 개념을 통한‘예술의 자율성’비판

 

7.1. 아방가르드란 무엇인가?

7.2. 페터 뷔르거의 ‘아방가르드 이론’

7.3. 아방가르드 예술의 미학적 원리 : 다다와 초현실주의를 중심으로

7.4. 아방가르드 예술의 미학적 의의

7.5. 미학에 대한 예술사회학적 비판

 

제8장 순수예술과 대중문화의 경계 해체와 포스트모더니즘

 

8.1.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개념적 규정

8.2.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몇몇 구체적 양상들

8.3.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의 미학적 의미

8.4. 현대 영미 분석 미학 : 예술 정의 불가론과 예술 제도론

8.5. 근대적 미술관 제도에 관한 미셸 푸코의 비판적 논의

 

제9장 미학에서 문화 연구로

 

9.1. 문화 연구의 성립 배경 : 문화 개념의 확대

9.2. 문화 연구의 전개 과정

9.3. 문화 연구와 미학의 관계 : 전통적 미학에 대한 비판으로서의 문화 연구

 

제10장 상품미학 비판과 새로운 미학의 요청

 

10.1. 전통적인 미학에 대한 비판으로서의 문화 연구의 현 상황

10.2. 하우크의 상품미학 비판과 대중문화의 연관성

10.3. 새로운 미학에의 요청

 

제2부 문화비평의 의미와 쟁점

 

제11장 문화비평의 의미와 대두 배경

 

11.1. 비평이란 무엇인가?

11.2. 현대적 비평의 대두 배경

11.3. 문화 개념의 확대와 문화비평

 

제12장 문화비평의 영역과 대상 1 : 작품에서 텍스트로

 

12.1. 비평의 대상과 텍스트

12.2. 텍스트 개념의 발전 : 소쉬르와 기호학의 태동

12.3. 바르트의 기호학과 텍스트 개념의 확장

 

제13장 문화비평의 영역과 대상 2 : 언어에서 담론으로

 

13.1. 담론 개념의 등장과 발전

13.2. 영국 문화 연구와 문화비평 : 이데올로기에서 헤게모니로

 

제14장 수용자에 대한 관심의 대두와 문화비평

 

14.1. 수용자에 대한 관심의 대두

14.2. 수용자와 저항, 즐거움

14.3. 적극적 수용자의 사례 : 팬

 

제15장 취향과 사회집단

 

15.1. 문화자본으로서의 취향

15.2. 문화자본의 존재형태

15.3. 취향의 사회성

15.4. 취향 형성의 기제

15.5. 취향 형성의 사회적 배경

15.6. 취향의 사회적 효과

 

 

참고문헌

찾아보기

최연희

연세대학교 철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학과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학과 박사과정 수료 현재: 서울대학교 미학과 강사 역서: 『시각과 시각성』, 『실재의 귀환』(공역), 『현대미술: 그 철학적 의미』(공역)

정준영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문화 변화의 논리를 구명하는 것을 학문적 과제로 삼고 이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대중음악과 만화, 텔레비전, 스포츠 등 대중문화의 다양한 영역을 연구하고 있다.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사회사학회의 이사를 맡고 있다. 『만화보기와 만화읽기』,『텔레비전 보기: 시청에서 비평으로』,『열광하는 스포츠, 은폐된 이데올로기』등의 저서를 포함하여 다수의 논저를 발표했다.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 상품 이용 안내
  • 본 상품은 방송대 학생 및 출판문화원 회원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본 상품은 홈페이지를 통해 이용하는 eBook 서비스로, 배송이 되지 않습니다.
  • 본 상품은 홈페이지에서 구매 후 모바일 앱(방송대 eBook) 및 홈페이지(PC, 모바일)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용 가능 단말기 수: 앱 및 웹 뷰어 총 3대까지 가능)
  • 본 상품은 불법복제방지기술이 적용되어있으므로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인쇄/저장 편집이 불가합니다.
  • 본 상품 구매 후 다운로드 받거나 한번이라도 읽었을 경우 주문 취소 및 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본 상품 구매 후 미열람 시 구매일로부터 10일 이내인 경우에만 환불 가능하며,
    10일이 지난 경우 이미 콘텐츠를 이용한 것으로 간주하여 주문 취소 및 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EPUB 포맷: 사용하는 기기에 맞게 글자가 재배열되는 가변형 전자책 포맷이며 쪽수가 표시되지 않음
    PDF 포맷: 어느 기기에서나 종이책과 동일한 형태로 보이는 전자책 포맷이며 쪽수가 표시됨

■ 단말기별 앱 안내
  • PC : 출판문화원 홈페이지에서 웹 뷰어로 이용
  • 모바일 단말기(Android 및 iOS) : 출판문화원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웹 뷰어 및 앱 이용(방송대 eBook)
    ※ 모바일 웹 뷰어: 출판문화원 모바일 홈페이지에서 설치 없이 이용
    ※ 모바일 앱: 앱스토어에서 “방송대 eBook” 검색, 설치 후 이용

이 저자의 다른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