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소년을 위한 후다닥 서평 쓰는 법> eBook 이용 가능한 인터넷 서점
- 교보문고: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E000010759223
- 예스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40242842
- 리디: https://ridibooks.com/books/2709001143
- 알라딘: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54113397
===
팔랑팔랑, 뒤적뒤적, 끄적끄적
김나정 작가에게 배우는 책 읽고 글 쓰는 법
어떻게 하면 책을 잘 읽고 내가 느끼고 생각한 것을 글로 잘 부릴 수 있을까요? 책을 사랑하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서평 쓰기 교실’을 진행해 온 소설가이자 평론가, 희곡 작가인 김나정 선생님이 책 읽고 글 쓰는 법을 자분자분 소개합니다.
서평 쓰기를 팔랑팔랑, 뒤적뒤적, 끄적끄적의 세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마다 실행하면 좋은 방법을 제시합니다. 다음으로는 본격적으로 서평을 쓰는 데 필요한 쓰기 공식을 알려 드립니다. 초고를 쓰는 방법, 단락을 나누고 문장을 가다듬는 법과 퇴고 방법까지 일러 드립니다. 마지막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 서평 쓰는 실력을 늘리는 방법, 책과 가까워지는 방법, 책으로 책을 쓰는 방법을 덧붙입니다.
서평 쓰기의 포인트는 무작정 들이대지 않는 것입니다. ‘재미있었다, 감동적이다, 지루하다, 별로다’라고만 쓰는 게 아니라 그 까닭도 밝혀 주는 것이죠. 서평은 이 책에 왜 끌렸는지, 이 책은 왜 읽을 만한지, 어떤 사람이 이 책의 독자가 되길 바라는지를 근거를 들어 일러 줍니다. 서평 쓰기는 책을 내 것으로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청소년 시절에 일생을 걸쳐 길잡이가 되어 줄 책과 만나고, 서평 쓰기를 통해 그 책을 오래 기억하길 바랍니다.
들어가는 말
1장 서평의 정의와 힘
1. 서평이란 무엇인가
2. 서평의 구성 요소
3. 서평을 쓰면 왜 좋을까?
2장 읽기 전에 팔랑팔랑
1. 책이 입은 옷, 표지 훑어보기
2. 표지를 들춰 훑어보기
3장 읽으며 뒤적뒤적
1. 나는 이 책을 왜 읽는가
2. 꼼꼼하게 읽기
3. 문학/비문학 읽는 방법
4. 연필을 드세요
5. 인용구 수집하기
6. 한 줄만 건져도 좋다
7. 책을 더럽히자
8. 북/노트 만들기
4장 읽고 나서 끄적끄적
1. 정리하기
2. 포인트 잡기
3. 이 서평의 독자는 누구인가
4. 구성하기와 개요 작성
5장 서평 쓰기의 기술
1. 초고 쓰기
2. 요약하기
3.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기
4. 문단 나누기
5. 문장의 힘
6. 눈길을 끄는 첫 문장, 울림을 남기는 끝 문장
7. ‘나’를 더하기
8. 서지 정보 밝히기
9. 화룡점정, ‘제목’ 붙이기
10 퇴고하기
11. 이렇게는 쓰지 말자
6장 한 걸음 더
1. 색다른 서평 쓰기
2. 서평 쓰는 실력을 늘리는 방법
3. 책과 가까워지는 방법
4. 책으로 책 쓰기
나가는 말
김나정
소설가, 평론가, 희곡 작가이자 세종사이버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상명여자대학교 교육학과와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하고, 문예창작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고려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단편소설 부문에 〈비틀즈의 다섯 번째 멤버〉가 당선되어 등단했으며, 2006년 문학동네 신인상 비평 부문에 〈성난 얼굴로 돌아보지 말라〉가 당선되어 문학평론가로 등단했다. 2010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희곡 부문에 〈여기서 먼가요〉로 등단해 희곡 작가로도 활동 중이며, 희곡 〈해뜨기 70분 전〉, 〈여기서 먼가요〉, 〈상자 속 흡혈귀〉, 〈저마다의 천사〉, 〈방과 후 앨리스〉 등이 무대에 올랐다. 2024년 교보문고 스토리대상 단편 부문에 〈내림마단조 좀비〉가 당선되었다.
《내 지하실의 애완동물》, 《멸종 직전의 우리》, 《구야 조선 소년 세계 표류기》, 《김나정 희곡집》, 《박완서에게 글쓰기를 배우다》, 《소설이 시간을 쓰는 법》, 《서평쓰기의 모든 것》 등 다수의 소설과 희곡, 평론을 집필했다.
책을 사랑하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간 30회 이상 ‘서평 쓰기 교실’을 진행하며 학생들에게 책 읽고 글 쓰는 법을 가르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