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간호학』 교과목의 학습목표는 재활에 대한 철학적 관점과 인본주의적 배려를 바탕으로 재활간호의 개념과 의미를 이해하고 기능장애별 건강문제의 특성, 사정내용 및 간호접근방법에 대한 학습을 통해 재활 대상자들이 직면한 건강문제를 통합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이들의 재활능력을 극대화하는 전인적 재활간호를 실무에 적용하는 데 있다.
이번 개편에서는 기존 구성방식과 달리 장별로 제시하던 객관식 연습문제를 기본교재에서는 생략하고 워크북에만 수록하고 있으며, 기본교재에서는 심층학습이 필요한 주제를 중심으로 한 연구과제를 제시함으로써 심화보충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 교재가 학습자의 재활간호 지식과 실무 적용 증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제 1 장 재활간호학 개요
1.1. 재활의 정의와 철학적 배경
1.2. 재활의 필요성과 목표
1.3. 재활간호 발전의 역사적 배경
제 2 장 재활 대상자의 이해
2.1. 재활 대상자
2.2. 재활 대상자의 심리사회적 문제
제 3 장 통합적 재활간호
3.1. 통합적 재활간호의 개념 및 필요성
3.2. 재활간호사의 역할
3.3. 재활간호실무 모형
제 4 장 기능사정
4.1. 기능사정의 특징과 목적
4.2. 기능적 능력 측정도구
제 5 장 물리치료
5.1. 물리치료의 정의
5.2. 온열치료
5.3. 한랭치료
5.4. 전기치료
5.5. 광선치료
5.6. 수치료
5.7. 마사지
제 6 장 작업치료
6.1. 작업치료의 정의
6.2. 작업치료의 중재방법
6.3. 일상생활동작
6.4. 보행
제 7 장 운동치료
7.1. 운동치료의 개요
7.2. 운동의 분류
7.3. 치료적 운동의 유형
7.4. 특정 질환별 운동치료
제 8 장 최신 재활치료
8.1. 로봇을 이용한 재활치료
8.2. 신경생리학을 적용한 재활치료
8.3. 줄기세포를 이용한 재활치료
제 9 장 보완대체요법
9.1. 보완대체요법의 정의
9.2. 보완대체요법의 필요성과 문제점
9.3. 보완대체요법의 종류
제10 장 연하 · 언어 기능 재활
10.1. 연하장애 재활
10.2. 언어장애 재활
제 11 장 인지장애 재활
11.1. 인지·지각·감각 기관의 병태생리
11.2. 간호사정
11.3. 재활중재
제 12 장 성 재활
12.1. 성기능과 성적 반응의 병태생리
12.2. 간호사정
12.3. 재활중재
제 13 장 만성피부손상 재활
13.1. 피부의 구조와 기능
13.2. 상처 치유
제 14 장 뇌졸중 재활
14.1. 뇌졸중 환자의 재활
14.2. 간호사정
14.3. 재활중재
14.4. 뇌졸중의 위험요인과 재발 예방
제 15 장 척수손상 재활
15.1. 척수손상 재활
15.2. 간호사정
15.3. 응급 시 간호
15.4. 재활중재
제 16 장 관절염 재활
16.1. 류마티스 관절염
16.2. 골관절염
16.3. 통풍
제 17 장 심장 재활
17.1. 심장 재활
17.2. 간호사정
17.3. 심장 재활 프로그램
제 18 장 호흡 재활
18.1. 호흡 재활
18.2. 간호사정
18.3. 호흡 재활 프로그램
18.4. 재활중재
제 19 장 요통 재활
19.1. 요통 재활
19.2. 간호사정
19.3. 추간판탈출증: 허리디스크로 인한 요통
19.4. 만성 요통 환자의 재활중재
제 20 장 화상 재활
20.1. 화상 재활
20.2. 간호사정
20.3. 재활중재
제 21 장 노인 재활
21.1. 노인 재활
21.2. 주요 건강문제 및 재활중재
정성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간호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간호학 석사·박사)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저서: 『간호연구』, 『노인간호학』, 『생활과 건강』, 『재활간호학』 외 다수
최윤경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간호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간호학 석사·박사)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저서: 『간호과정론』, 『간호이론』, 『간호학특론』, 『전략적 간호관리』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