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해설이 갖는 중요성이나 가치뿐만이 아니라 실제로 해설가가 되기 위해 혹은 해설을 하면서
필요한 지식과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총 1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반부의 제1장부터 제3장은 개괄적인 내용인 해설의 개념과 가치, 이론 등을 주로 다루며,
제4장부터 제7장에서는 해설 프로그램에 대한 계획을 세워 평가하는 부분까지 해설 프로그램의 기획
전반을 다루고 있다. 제8장부터 제11장까지는 인적 해설, 비인적 해설, 놀이 등 구체적인 해설 방법을
학습한다. 제12장에서는 자연자원과 관련된 숲해설 노트를 학습하고, 마지막 제13장에서는 대표적인
해설인 해양자원, 박물관, 역사문화자원 해설의 특징과 각 자원의 해설사 운영에 대해 학습한다.
제1장 자원해설의 이해 1
제2장 자원해설의 이해 2
제3장 성공적인 자원해설을 위한 이론
제4장 해설 프로그램의 기획
제5장 해설 프로그램의 계획
제6장 해설 대상에 대한 이해
제7장 해설 프로그램의 평가
제8장 해설 방법의 유형
제9장 인적 해설 – 해설가의 역할에 대한 이해
제10장 비인적 해설 기법
제11장 해설과 놀이
제12장 자연자원 해설 노트 - 숲해설
제13장 다양한 자원 해설
여경진
Rikkyo University 관광학 박사
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관광학과 교수
하시연
서울대학교 환경교육협동과정 박사
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교육치유연구실 임업연구관
장호찬
Texas A&M University 관광학 박사
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관광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