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 조선의 일상적 굴욕과 폭력에
함께 저항한 외국인들
광복 80주년이 되어서야 알게 된 그들의 삶과 신념
식민의 땅에서 자행되던 일상적 폭력과 모욕! 때로는 비폭력으로, 때로는 전략적인 투쟁으로 조선인들은 일본제국주의의 억압에 항거했다. 암울했던 30여 년의 일상을 버텨내며 싸운 끝에 마침내 독립을 이루었고,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이하게 되었다. 그동안 우리는 교과서에 등장하는 일부 독립운동가들에게만 주목해 왔다. 하지만, 조선 독립을 위해 헌신했던 외국인 독립운동가들이 있다는 사실, 알고 있는가?
《비록 내 나라는 아니오만》은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외국인 독립운동가 15인의 삶을 따라가며, 왜 그들에게도 조선의 독립이 중요한 과제였는지 깊이 있게 추적한다. 이 책은 단순히 개인의 헌신을 조명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식민지 한국에서 일어났던 굵직한 사건들과 그들의 활동을 연결하여 독립운동사를 세 부분으로 조망한다. 대한제국의 주권 회복을 위한 노력(1876~1910)에서부터 식민지 조선을 지키려는 용기(1902~1935), 그리고 제국주의에 맞선 정의로운 연대(1907~1945)의 움직임까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외국인들이 조선 독립에 어떻게 참여하고 연대했는지 입체적으로 그려낸다.
1부. 주권 회복을 위한 헌신
올리버 R. 에이비슨 (어비신 魚丕信)
1. 조선의 자립 기반을 위해 의학교육 제도를 만든 의사
사건파일 의병 봉기
로버트 D. 스토리
2. 외교 주권 침탈을 폭로해 전 세계에 알린 기자
사건파일 ‘을사조약’
프레더릭 A. 매켄지
3.《대한제국의 비극》으로 주권 침해를 증언한 저널리스트
사건파일 의병전쟁
호머 B. 헐버트 (허흘법 許訖法)
4. 외교 주권 되찾으려 헤이그로 달려간 ‘자발적 외교관’
사건파일 만국평화회의 특사단
2부. 조선을 지키기 위한 용기
프랭크 W. 스코필드 (석호필 石虎弼)
5. 일본군의 탄압을 사진으로 기록해 조선을 지킨 수의사
사건파일 제암리 학살
황줴
6. 한·중·일 네트워크를 견고하게 구축한 출판인
사건파일 신한청년당
로버트 G. 그리어슨 (구례선 具禮善)
7. 일제의 폭력으로 죽어가는 조선인을 구해낸 선교사
사건파일 ‘105인 사건’
루이 마랭
8. 유럽에서 진행된 독립운도을 지원한 정치인
사건파일 구미위원회
추푸청
9.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들을 물심양면으로 도운 혁명가
사건파일 김구 피난처
조지 S. 맥큔 (윤산온 尹山溫)
10. 신사참배 거부로 민족적 자존심 고수하게 한 교육자
사건파일 숭실학교 폐교
3부. 제국주의에 저항한 정의로운 연대
조지 L. 쇼
11. 체포와 구속, 외교 분쟁에도 굴하지 않고 임시정부 도운 사업가
사건파일 안동교통사무국
후세 다쓰지
12. 일본 법정에서 조선인과 함께 재판 투쟁을 펼친 변호사
사건파일 2.8 독립선언
가네코 후미코 (박문자 朴文子)
13. 식민과 인간 억압에 모두 맞선 아나키스트
사건파일 관동대지진
조지 A. 피치 (비오생 費吾生)
14. 아버지에 이어 조선인과 함께 고통을 감당한 목회가
사건파일 윤봉길 의거
두쥔훼이
15. 조선 독립과 여성의 권리를 함께 실천한 해방 운동가
사건파일 중한문화협회
남기현 (집필)
방송대 문화교양학과 교수
‘한국병합’ 전후 토지 소유관계와 이 시기, 새롭게 제정된 법률과 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제도가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관심을 두고 있다. 성균관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동 대학 박물관 학예사와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위원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조선토지조사사업: 식민지 지배의 기반》(동북아역사재단, 2025), 《3·1운동과 경기, 인천지역》(경인문화사, 2019, 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공공역사가의 협력으로 만드는 지역 근현대사 교육>(《역사비평》 151, 2025), <일제시기 토지소유권 확립을 둘러싼 사법적 분쟁의 해소 – 김성윤과 도요타 후쿠타로의 소송을 중심으로>(《역사와 현실》 122, 2021) 등이 있다.
김영진 (집필)
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선임연구원
1920년대 중반 정우회선언을 중심으로 한 사회주의 정치사상사를 주제로 성균관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근대사상의 수용과 전유 방식이 사회운동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탐구하고 있다. 아울러 지역찬조광고를 통해 지역 내 인적 네트워크 분석에도 관심을 두고 있다. 주요 연구로는 1962년 독립유공자 포상 과정 및 명단을 분석한 <독립유공자 포상과 역사인식: 1958년과 1962년 독립유공자 포상 명단 분석>(《사림》 75, 2021), 지역찬조광고를 활용하여 지역정치의 역학관계를 분석한 <조선지광 지역찬조광고로 본 원산지역 사회운동과 지역사회>(《역사연구》 52, 2025) 등이 있다. 공저로는 《일제강점기 경기도의 재력가》(경기문화재단, 2018), 《경성지방법원 검사국 문서와 식민지 사회》(국사편찬위원회, 2022), 《일제강점기 국내 민족주의·사회주의운동 탄압사》(동북아역사재단, 2022) 등이 있다.
이혜린 (집필)
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연구원
성균관대에서 상하이 프랑스 조계 당국의 한인 정책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망명, 이주, 난민 등 국경을 넘은 이들의 삶에 관심을 두고 공부하고 있다. 주요 연구로는 독립운동가 김석의 체포와 이중 국적 문제를 살펴본 <재상해 한인의 국적문제와 중국, 일본, 프랑스의 대응: 1933-1934년 김석의 사례를 중심으로>(《역사연구》 50, 2024), 상하이 프랑스 조계 당국이 작성한 ‘월간보고서’를 분석한 <1920년대 중반 상해 프랑스 조계 당국이 작성한 ‘월간보고서’의 내용과 의미>(《사학연구》 156, 2024)가 있다. 공저로는 김구 서거 70주기를 맞아 기획된 《백범의 길: 임시정부의 중국 노정을 밟다 – 상》(arte, 2019)이 있다.
My Page>내 주문내역>교환/추가배송 신청/확인, 1:1 고객상담, 고객센터(1644-1232)
(신청 → 교환상품 → 재발송 → 하자상품과 교환상품 교환) 과정 처리
이미 배송받은 상품의 오배송(다른 상품 배송), 훼손, 누락에 한함
■ 교환/추가배송 가능 기간배송완료 후 15일 이내
■ 반품/환불 안내
반품환불은 수령하신 날로부터 15일 이내에 원하시는 택배사를 선택하여 선불 택배로 반품,
배송 시 동봉된 거래명세서 뒷면 '환불신청서'를 작성하시고 환불 받으실 교재를 훼손되지 않도록 택배밀봉포장을 하여 출판문화원물류센터 주소로 보내주셔야 합니다.
반품처 : (우 11046)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청정로 755번길 53 한국방송대출판문화원 물류센터 ☎ 1644-1232
타 도서로의 교환이 불가하며, 반납도서 중 훼손 및 오손, 낙서, 워크북 누락 등 정상품 이 아닌 경우 환불이 불가하여 부득이 착불반송 또는 폐기처리 됩니다.
접수된 교환/추가배송 신청 중 귀책사유가 불분명한 경우 원인 규명으로 인하여 처리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