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까지 우리 사회에서 가족문제는 시간이 지나면 해결된다는 막연한 기대와 가족문제를 공개하기보다는 은폐하려 하고 가족 안에서 해결하려는 경향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이런 경우는 대부분 문제해결을 위한 개입 시기를 놓침으로써 가족의 역기능이나 병리현상이 더욱 심화된다. 이는 가족상담에 대한 전문성을 인정하지 않거나 가족상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부족한 데서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가족상담은 개인의 경험에 의존해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가족상담은 누구나 할 수 있는 것 혹은 가족구성원이 모두 참여하면 되는 것으로 오인되고 있다. 가족상담자로서의 역량을 쌓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하나의 체계로서 가족체계의 특성과 기능에 대한 기본 이해를 갖추고 주요 상담이론과 실제에 대해서도 알아야 한다. 더불어 한국 가족의 고유한 특성과 환경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본 교재에서는 가족상담 및 치료가 하나의 전문영역으로 자리 잡기까지의 발달사를 살펴보고, 개인과 가족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되는 가족상담의 이론과 치료기법 등을 다루고자 한다. 또한 가족체계의 기능과 적응력을 평가할 수 있는 기본적인 틀을 학습하고, 역기능적인 가족 상호작용 유형에 대한 유용한 접근방법을 다룸으로써 가족생활에 대한 이해와 안목을 갖출 수 있는 전문지식을 습득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자 한다.
제1부 가족상담 및 치료의 특성과 발달과정 제 1 장 가족상담 및 치료의 특성 1.1 가족상담 및 치료의 필요성 1.2 개인상담과 가족상담 1.3 가족상담 및 치료의 목표
제 2 장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 2.1 서양의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 –미국을 중심으로 2.2 가족상담 및 치료 분야의 주요 인물 2.3 가족상담 및 치료의 시대별 발달과정 2.4 한국의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 제 3 장 가족상담 및 치료의 기초 3.1 체계이론 3.2 구성주의와 사회구성주의 3.3 가족생활주기 3.4 신경과학 3.5 문화와 가족의 다양성
제2부 주요 가족상담 및 치료이론 제 4 장 정신역동 가족치료 4.1 기본 원리 및 주요 개념 4.2 치료목표 4.3 치료기법
제 5 장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5.1 기본 원리 및 주요 개념 5.2 치료목표 5.3 치료기법
제 6 장 전략적 가족치료 6.1 기본 원리 및 주요 개념 6.2 치료목표 6.3 치료기법
제 7 장 구조적 가족치료 7.1 기본 원리 및 주요 개념 7.2 치료목표 7.3 치료기법 제 8 장 경험적 가족치료 8.1 기본 원리 및 주요 개념 8.2 치료목표 8.3 치료기법
제 9 장 인지행동적 가족치료 9.1 기본 원리 및 주요 개념 9.2 치료목표 9.3 치료기법
제 10 장 해결중심 가족치료 10.1 기본 원리 및 주요 개념 10.2 치료목표 10.3 치료기법
제 11 장 이야기치료 11.1 기본 원리 및 주요 개념 11.2 치료목표 11.3 치료기법
제3부 가족상담 및 치료의 실제 제 12 장 가족사정 12.1 가족사정을 위한 평가 영역 12.2 가족생활주기를 활용한 가족평가 12.3 가계도 활용 12.4 기타 가족평가 도구
제 13 장 가족상담 및 치료의 과정과 개입기술 13.1 가족상담의 초기 단계 13.2 가족상담의 중간 단계 13.3 가족상담의 종결 단계
제 14 장 가족문제 유형별 상담지침 14.1 이혼 및 재혼 상담 14.2 가정폭력상담 14.3 알코올 의존증 가족상담 14.4 청소년기 가족상담
제 15 장 가족상담 및 치료에서의 직업윤리 15.1 가족상담 및 치료의 직업윤리 15.2 가족상담 및 치료에서의 윤리적 의사결정 모형
최연실 (집필)
서울대학교 가정대학 가정관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가정학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가족학 전공) • 현재: 상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가족복지학과 교수 한국가족치료학회 회장 한국가족치료학회·한국상담학회(부부가족상담분과학회)·한국가족관계학회 슈퍼바이저
기쁘다 (집필)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심리학석사(상담심리학 전공) 미국 코네티컷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가족상담학 전공)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활과학부 조교수
성미애 (집필)
서울대학교 가정대학 가정관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가정학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가족학 전공)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활과학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