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저널리즘을 개괄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이 책을 통해 현대사회에서 주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저널리즘에 대해 이해할 수 있고, 그 구성요소, 기본요소 등을 알아볼 수 있다. 또한 저널리즘이 발전해 온 역사를 탐구함으로써 보다 거시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저널리즘의 주요 이론들을 알아본 후 본격적으로 주요한 저널리즘의 유형들을 살펴볼 것이다. 주요한 저널리즘의 유형으로는 탐사저널리즘, 공공저널리즘, 테러저널리즘, 전쟁저널리즘, 온라인 저널리즘 등이 있다. 본교재의 학습을 통해 독자들은 신문과 방송, 온라인 미디어에서 제공하는 뉴스를 보다 균형적이고 비판적으로 수용하게 될 것이다.
제1장 저널리즘의 이해
01 저널리즘의 정의 _2
02 저널리즘의 기능 _3
03 저널리즘의 목적 _5
04 저널리즘에 대한 입체적 이해 _9
05 뉴스란 무엇인가? _10
06 저널리즘의 존재이유 _14
07 저널리즘의 위기 _17
제2장 저널리즘의 기본요소
01 진실(truth)의 의미 _26
02 확인의 중요성과 절차 _31
03 뉴스의 개념 _38
제3장 저널리즘의 구성요소
01 기사의 주인공 : who _52
02 기사의 내용 : what _54
03 시제 : when _59
04 장소 : where _63
05 이유와 방법 : why와 how _68
제4장 저널리즘의 역사
01 초창기의 저널리즘 _74
02 저널리즘의 이윤추구 _78
03 전문직으로서의 저널리즘의 필요성 _82
04 20세기 중반 이후의 흐름 _83
05 최근의 뉴스 흐름 _86
06 저널리즘의 미래 _89
제5장 저널리즘의 기본이론
01 의제설정이론 _98
02 프라이밍이론 _107
03 프레이밍이론 _110
04 제3자 효과이론 _118
05 침묵의 나선이론 _122
06 지식격차가설과 정보격차 _128
07 이용과 충족이론 _131
08 미디어의존이론 _135
제6장 탐사저널리즘
01 탐사저널리즘의 태동 _144
02 탐사저널리즘의 정의와 유형 _147
03 탐사저널리즘의 사례 _149
04 컴퓨터 활용취재(CAR)와 탐사보도 _158
제7장 공공저널리즘
01 공공저널리즘의 태동 _164
02 공공저널리즘의 정의 _166
03 공공저널리즘의 실험들 _168
04 공공저널리즘의 효과 _170
05 공공저널리즘의 비판 _173
06 한국 언론과 공공저널리즘 _175
제8장 테러와 언론보도
01 테러리즘과 언론 _182
02 9·11 테러와 언론보도 _186
03 한국 언론의 테러보도 _191
04 테러리스트냐 영웅이냐 _195
제9장 전쟁저널리즘
01 전쟁과 언론 _200
02 이라크전쟁과 임베드 프로그램 _205
03 알자지라의 성장과 이라크전쟁 _209
04 한국 언론의 이라크전쟁 보도 _215
05 평화저널리즘의 대두 _218
06 한국 언론의 전쟁취재 여건과 개선점 _220
제10장 온라인저널리즘
01 온라인저널리즘의 성장 _226
02 온라인저널리즘의 특징 _227
03 인터넷언론 사례 _232
04 1인 미디어의 등장 _239
05 포털사이트의 뉴스 서비스 _244
06 온라인저널리즘의 주요 쟁점 _248
제11장 소셜미디어와 저널리즘
01 소셜미디어의 개념 및 특성 _254
02 소셜미디어의 영향력 _256
03 기존 매체의 소셜미디어 활용 _258
04 소셜미디어가 저널리즘에 미친 영향 _262
이은택 (집필)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 석사
미국 미주리 주립대학교 언론학 박사
한국언론재단 객원연구원
현재: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저서:『뉴미디어론』, 『저널리즘의 이해』, 『미디어 비평』, 『설득커뮤니케이션』 등
이창호 (집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 언론학 박사
현재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
My Page>내 주문내역>교환/추가배송 신청/확인, 1:1 고객상담, 고객센터(1644-1232)
(신청 → 교환상품 → 재발송 → 하자상품과 교환상품 교환) 과정 처리
이미 배송받은 상품의 오배송(다른 상품 배송), 훼손, 누락에 한함
■ 교환/추가배송 가능 기간배송완료 후 15일 이내
■ 반품/환불 안내
반품환불은 수령하신 날로부터 15일 이내에 원하시는 택배사를 선택하여 선불 택배로 반품,
배송 시 동봉된 거래명세서 뒷면 '환불신청서'를 작성하시고 환불 받으실 교재를 훼손되지 않도록 택배밀봉포장을 하여 출판문화원물류센터 주소로 보내주셔야 합니다.
반품처 : (우 11046)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청정로 755번길 53 한국방송대출판문화원 물류센터 ☎ 1644-1232
타 도서로의 교환이 불가하며, 반납도서 중 훼손 및 오손, 낙서, 워크북 누락 등 정상품 이 아닌 경우 환불이 불가하여 부득이 착불반송 또는 폐기처리 됩니다.
접수된 교환/추가배송 신청 중 귀책사유가 불분명한 경우 원인 규명으로 인하여 처리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