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는 시민들이 연대와 협력으로 형성된 우정을 바탕으로 하여 좋은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관여하는 것이어야 한다.
사회복지는 일종의 공적인 나눔인데, 이러한 관점에서 ‘나눔’은 시민의 권리이며 이 권리가 실현되기 위해 실천하는 시민정치라고 할 수 있다.
즉 사회복지에서의 나눔은 좋은 공동체를 만들려는 시민들의 상상이고 연대이며 우정인 것이다.
우리는 그동안 나눔을 시혜와 자선, 동정으로 여겨 왔다. 불쌍한 사람들의 존재를 설정하고 그들에게 빵을 제공하는 것을 나눔으로 이해한 것이다.
이런 측면으로만 나눔을 이해한다면, 나눔의 행위를 통해 불평등이나 권리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이 책에서는 나눔을 권리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다. 나눔은 연대와 협력에 기반해서 권리를 자각하고 권리를 실현하는 행위인 것이다.
나눔을 자선의 한 방법으로 이해하는 현실에서 권리 실현 방법으로서 나눔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다소 생소하고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나눔의 예술> 강의와 교재에서는 나눔의 의미와 이를 현실에서 실천하는 방법 등을 쉽고 깊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예술의 여러 장르를 활용하였다.
즉 권리로서의 나눔과 관련된 시, 사진, 음악, 소설, 춤, 영화, 포스터, 건축 등의 다양한 예술 양식을 매개로 하여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처럼 예술을 매개로 ‘나눔의 철학’, ‘나눔의 감정’, ‘나눔의 역사’, ‘나눔의 실천’ 등 권리형 나눔과 관련된 다양한 의미와 나눔의 방법을 학습하게 될 것이다.
이 책에서는 나눔을 어려운 이웃을 돕는 서비스의 전달로 이해하는 것을 넘어 권리와 시민의 권력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통찰과 실천방법을 제시한다.
따라서 이 책은 사회복지의 실천 현장에서도 필요한 길잡이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제1장 나눔도 철학이 있다
맥락 / 자선형 나눔과 권리형 나눔 / 사회복지는 나눔이다
제2장 시로 본 나눔: 권리를 알고 좋은 우정과 공동체를 만들어라
제3장 사진으로 본 나눔의 감정: 연민인가 공감인가
나눔의 감정 / 나눔의 감정으로 본 세상 / 나눔, 연민에서 공감으로
제4장 그림으로 본 나눔의 역사
그림으로 읽는 나눔 / 봉건주의의 나눔, 가난은 운명이다 / 자본주의 형성기의 나눔, 가난은 죄악이다 /
자본주의 성숙기의 나눔, 가난은 나라의 책임이다 / 빈곤과 나눔의 역사
제5장 소설로 본 나눔과 인간
왜 소설인가 / 오래된 과거의 붕괴 / 도시의 공기에는 어떤 냄새가 날까 / 빈곤은 전염병이다 / 악마의 맷돌과 인간
제6장 소설로 본 나눔과 노동자의 삶
노동과 빵의 결핍 / 나눔의 감정, 연민과 공감 / 우리는 어떤 질서에 살고 있을까 / 빵과 장미
제7장 클래식 음악으로 본 자기 목소리와 시민권
자기 목소리를 낸 음악가 / 모차르트의 목소리, 궁정음악에서 대중음악으로 / 베토벤의 목소리, 혁명과 평등을 음악에 담다 /
자기 목소리로 이야기하는 나눔의 실천
제8장 춤으로 본 자기 목소리와 저항
자기 목소리의 의미 / 춤으로 본 자기 목소리와 저항 / 춤으로 본 자기 목소리와 계급 저항 / 춤으로 본 인종차별에 대한 저항 /
춤으로 본 여성의 목소리 / 자기 목소리와 저항, 그리고 연대
제9장 대중음악으로 본 민주주의 위기와 권리의 나눔
대중음악과 사회 / 대중음악과 민주주의 / 민주주의의 위기와 권리의 나눔
제10장 대중음악으로 본 사회적 위험과 권리의 나눔
사회적 재난과 공동체의 기억 / 위험과 고통이 없는 공동체 / 자본주의와 위험 / 좋은 공동체에서의 위험
제11장 포스터로 본 권력과 나눔 - 인구정책을 중심으로
포스터의 어원과 역사 / 포스터와 선전 / 포스터와 인구정책 / 선전의 이면과 자각하는 시민
제12장 영화로 본 나눔과 권리형 실천
영화의 탄생 / 세상 이야기를 담는 영화 / 자선형 나눔과 권리형 나눔 / 권리형 나눔 실천 / 소크라테스 유형: 나를 살펴보다 /
헬렌 켈러 유형: 주위를 둘러보다 / 로자 파크스 유형: 함께 만들어 보다
제13장 건축으로 본 나눔과 공론장
건축, 공간의 의미 / 소통과 연대의 광장, 공론장
제14장 대중음악으로 본 나눔과 희망의 노래
나눔과 희망 / 사회정책과 행복 / 나눔의 사회적 실천
제15장 함께하는 나눔과 우정
유범상 (집필)
영국 University of Edinburgh(사회복지학 박사)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저서: 『필링의 인문학』, 『세상을 묻는 너에게』 등
이현숙 (집필)
영국 University of Edinburgh(사회복지정책학 박사)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저서: 『사회복지와 문화다양성』, 『사회복지와 인권』 등
김영애 (집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사회복지학 박사)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저서: 『장애인복지론』,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등
강상준 (집필)
서강대학교 대학원(사회복지학 박사, 사회정책 전공)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저서: 『산업복지론』, 『행복계약을 맺은 사람들』 등
인지훈 (집필)
고려대학교 대학원(정치학 박사)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박미진 (집필)
서울대학교 대학원(사회복지학 박사, 사회정책 전공)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My Page>내 주문내역>교환/추가배송 신청/확인, 1:1 고객상담, 고객센터(1644-1232)
(신청 → 교환상품 → 재발송 → 하자상품과 교환상품 교환) 과정 처리
이미 배송받은 상품의 오배송(다른 상품 배송), 훼손, 누락에 한함
■ 교환/추가배송 가능 기간배송완료 후 15일 이내
■ 반품/환불 안내
반품환불은 수령하신 날로부터 15일 이내에 원하시는 택배사를 선택하여 선불 택배로 반품,
배송 시 동봉된 거래명세서 뒷면 '환불신청서'를 작성하시고 환불 받으실 교재를 훼손되지 않도록 택배밀봉포장을 하여 출판문화원물류센터 주소로 보내주셔야 합니다.
반품처 : (우 11046)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청정로 755번길 53 한국방송대출판문화원 물류센터 ☎ 1644-1232
타 도서로의 교환이 불가하며, 반납도서 중 훼손 및 오손, 낙서, 워크북 누락 등 정상품 이 아닌 경우 환불이 불가하여 부득이 착불반송 또는 폐기처리 됩니다.
접수된 교환/추가배송 신청 중 귀책사유가 불분명한 경우 원인 규명으로 인하여 처리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