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화학은 생체의 구조, 조직 및 기능을 분자의 관점에서 설명하고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이다. 즉, 생체를 구성하는 작은 분자들과 이 분자들이 화학 결합하여 생성되는 고분자의 특징을 파악하고, 고분자로부터 세포, 조직 및 기관이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조사하며, 생체의 생명 유지와 관련된 일련의 화학 반응, 즉 생물 대사를 이해하는 것이 주요 연구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생화학은 유기 화학에서 유래한 학문이므로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기초적인 유기 화학 지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책의 제1장~제5장에서는 유기 화학 분야에서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중요한 주제인 유기 화합물의 분류와 성질을 다루었다. 제6장~제8장에서는 세포, 생체 용매로서의 물의 성질, 탄수화물·단백질·지질·핵산과 같은 생체 거대분자의 구성과 특징을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제9장에서는 생명 현상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생체 물질의 대사에 관련된 내용을 글루코스의 대사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환경생화학』의 학습을 통하여 앞으로 생화학의 심화 내용과 응용 분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제 1 장 탄화수소 제 2 장 알코올과 에터 제 3 장 카보닐 화합물 제 4 장 유기 질소 화합물 제 5 장 고분자 화합물 제 6 장 세포 제 7 장 물 제 8 장 생체 거대분자 제 9 장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대사 •참고문헌 •찾아보기
박지호 (집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학사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석사 미국 Texas A&M 대학교 화학과 박사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at Irvine PostDoc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보건환경학과 교수
조규봉 (집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학사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석사 삼성종합기술원 전문 연구원 미국 University of Wisconsin at Madison 화학과 박사 미국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PostDoc •현재: 서강대학교 화학과/바이오융합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