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교재는 눈으로 볼 수 없는 사람들의 생각이나 태도 또는 사회현상을 수량화하여 측정하는 통계조사의 전반적인 내용을 다룬다. 조사과정에 필요한 조사연구 설계, 질문지 작성, 면접조사기술과 조사관리, 표본추출, 조사 데이터 분석, 보고서 작성 등 사회조사 및 통계조사와 관련된 전 과정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조사 결과를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과 사회조사 수행 역량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제1장 사회현상과 과학적 연구방법 1.1 사회연구란 무엇인가? 1.2 사회연구의 방법과 목적 1.3 과학적 연구의 과정 1.4 연구의 구성요소 1.5 경험적 연구방법
제2장 조사연구의 설계와 방법 2.1 조사연구의 내용과 목적 2.2 조사연구의 단계 2.3 조사연구의 강점과 한계 2.4 자료수집방법
제4장 면접조사의 기술 4.1 면접조사의 이해 4.2 상호작용으로서의 면접 4.3 면접원의 자세 4.4 면접의 기술 4.5 자주 받는 질문과 면접거부 이유
제5장 사회조사과정의 관리 5.1 면접원 선정과 교육 5.2 면접과정의 관리 5.3 자료정리와 컴퓨터 입력 5.4 사회조사의 오차와 함정 5.5 조사비용의 종류와 절약방법
제6장 표본추출법 6.1 표본조사 개요 6.2 확률추출법 6.3 비확률추출법 6.4 단순임의표본에 대한 표본오차의 계산 6.5 표본크기의 결정
제7장 측 정 7.1 측정이란? 7.2 측정의 수준 7.3 타당도 7.4 신뢰도
제8장 척도의 구성 8.1 척도의 기능과 필요성 8.2 서스톤 척도 8.3 리커트 척도 8.4 거트만 척도 8.5 의미분화척도
제9장 조사 데이터의 분석 9.1 데이터 분석 개요 9.2 데이터 분석을 위한 준비 9.3 통계 소프트웨어 9.4 그래프, 표, 데이터의 수치요약 9.5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 분석기법
제10장 보고서 작성법 10.1 보고서 작성의 기본원칙 10.2 조사보고서 작성법
배규한 (집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회학과(문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사회학석사) 미국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Ph.D. in Sociology) 국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한국연구재단 사무총장, 청소년보호위원장 역임 ∙현재: 백석대학교 석좌교수 ∙저서: 『미래사회학』, 『사회학적 통찰과 상상』, 『자유로운 미래를 위한 사회학』 등
이기재 (집필)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계산통계학과(이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계산통계학과(이학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계산통계학과(통계학박사)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통계․데이터과학과 교수 ∙저서: 『엑셀데이터분석』, 『표본조사론』, 『여론조사의 이해』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