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교재는 학교의 본질과 역할을 전반적으로 탐구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먼저, 학교의 역사적 발전 과정과 현대 사회에서의 역할을 분석하며, 학교가 사회적 요구에 따라 형성되고 변화해 온 과정을 다룬다. 이를 통해 학교라는 제도적 맥락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이후 교육과정, 비교과 활동, 교육복지, 인성교육, 학교폭력 예방교육 등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교육 활동과 그 양상을 탐구하였다. 다음으로, 학교를 구성하는 주요 주체인 교사, 학생, 학부모의 역할과 이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되는 학교문화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변화하는 사회에서 학교가 수행해 온 역할과 앞으로 담당해야 할 기능을 조망하며, 현대 학교교육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독자들이 학교교육의 전반적 이해부터 실천적 과제와 미래 방향성까지 통합적으로 탐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제1장 학교교육의 이해 1. 학교의 정의 2. 학교의 역사적 변화 3. 학교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관점 4. 교육적 관점에서의 학교 이해
제2장 교육제도로서 학교 1. 교육제도의 이해 2. 근대의 교육제도 3. 학교제도의 다양한 유형 4. 학교 효과
제3장 교육과정의 이해 1. 학교와 교육과정 2. 교육과정의 개념 3. 교육과정의 유형
제4장 교과교육과정 1. 교과의 의미 2. 교과교육과정의 구성 3. 한국의 교과교육과정
제5장 비교과교육과정 1. 비교과교육과정의 이해 2. 생활지도와 상담 3. 창의적 체험활동과 범교과 학습 주제
제6장 교육복지 1. 교육복지의 이해 2. 교육복지 우선지원사업 3. 방과후학교
제7장 인성교육 1. 인성교육의 기초 2. 한국의 인성교육 3. 인성교육의 국제 동향
제8장 학교폭력 예방 교육 1. 학교폭력의 이해 2. 학교폭력 예방 교육 전략 3.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법적 기반과 제도
제9장 교사, 학생, 학부모 1. 교사 2. 학생 3. 학부모
제10장 학교문화 1. 학교문화의 이해 2. 교사문화와 학생문화 3. 학교문화의 갈등과 변화
제11장 학교의 변화 1. 학교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2. 외국의 교육 개혁 3. 한국의 교육 개혁 4. 대안학교
제12장 역량과 학교교육 1. 역량과 청소년 2. 학교교육과 역량
제13장 학교교육과 청소년교육 1. 학교교육과 청소년교육의 이해 2. 학교교육과 청소년교육의 법적 근거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봉민 (집필)
전라남도의 작은 시골 마을에서 태어나 광주광역시로 전학하여 중·고등학교 시절을 보냈다. 서울대학교 사회교육과를 졸업한 뒤 중학교 교사로 근무하면서 같은 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과정을 이수하였다. 현재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청소년교육복지상담학과에 재직 중이며, ‘교사론’, ‘학교폭력 예방’,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 경험’ 등 청소년과 학교교육을 둘러싼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