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관리> 교과목은 점점 악화되고 있는 수(水)환경의 환경적 중요성 및 현황을 소개하고, 각종 수역의 수질관리를 위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내용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교재의 내용은 크게 수자원 현황 및 중요성, 수질관리에 필요한 물의 중요 성상 및 수질오염개론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를 학습하는 데 필요한 물의 물성, 수질화학, 수질미생물학 등의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제1장 물의 순환과 인간 1.1. 물과 인간 1.2. 물의 순환 - 수량과 수질 측면 1.3. 수자원 이용 현황
제2장 수자원의 종류 및 성상 2.1. 천수 2.2. 지표수 2.3. 지하수
제3장 수질 3.1. 수인성 전염병 3.2.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 3.3. 먹는 물 수질기준 및 위생학적 가치 3.4. 농업용수의 수질 3.5. 공업용수의 수질 3.6. 레크리에이션 용수 3.7. 수생물 및 생태계 보호 3.8. 폐수의 수질관리
제4장 물의 물리적 특성 4.1. 물의 특성 4.2. 밀도, 단위중량 및 비중 4.3. 압축성 4.4. 점성 4.5. 표면장력 및 모세관현상 4.6. 증기압 4.7. 확산 및 분산 4.8. 혼합과 체류시간 4.9. 기체의 이동
제5장 물의 기초화학 5.1. 화학반응식 5.2. 용액의 화학평형 5.3. 산화와 환원 5.4. 물질수지 및 반응속도론
제6장 물의 생물학적 특성 6.1. 생태학 기초 6.2. 수중미생물 6.3. 생물학적 분해 메커니즘
제7장 수질오염개론 7.1. 수질오염의 역사 7.2. 수질오염 발생원인 및 수질오염지표 7.3. 수질오염물질 분석 및 농도 표시 7.4. 물리학적 지표 7.5. 화학적 지표 7.6. 생물학적 지표 미생물 7.7. 유해화학물질과 생태독성 평가 7.8. 수질오염 평가지수 7.9. 수질오염의 주요 발생원 및 현황
제8장 각 수역의 오염현상 8.1. 하천 8.2. 호수 및 저수지 8.3. 해양오염
부록 1. NSF 수질평가지수의 부지수 2. 주기율표 3. 단위 환산인자 4. 반쪽반응식을 이용한 산화-환원 화학반응식 완성법 표 5. 무기화합물의 반쪽반응식과 에너지 6. 유기화합물의 반쪽반응식과 에너지
권수열 (집필)
고려대학교 토목공학과(공학사) 고려대학교 토목공학과(환경공학 석사 및 박사) 미국 오리건 주립대학교(OSU) Post-doc. 및 방문교수 한국물환경학회 회장 대통령직속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 환경부 중앙환경정책자문위원회 위원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보건환경안전학과 교수 •저서: 『환경보건학개론』, 『수질시험법』, 『토양지하수관리』(이상 공저) 등
김영 (집필)
고려대학교 토목공학과(공학사) 고려대학교 토목공학과(환경공학석사) 미국 오리건 주립대학교(OSU) (환경공학 석사 및 박사) 미국 오리건 주립대학교(OSU) 토목건설환경공학과 연구교수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미래기술위원회 위원 •현재: 고려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과 교수 •저서: 『토양지하수관리』(공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