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는 고위험 모성과 신생아부터 학령전기까지의 고위험 아동의 건강증진 및 건강회복에 필요한 지식과 간호 기술을 습득하여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중재를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책은 총 2부 1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부는 고위험 모성간호, 제2부는 고위험 아동간호로 크게 구분되어 있다. 제1부는 총 5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개편에서는 제1장에서 고위험 임신의 특성과 예방을 다루면서 난임의 요인과 치료를 포함하였다. 제2장부터 제5장까지는 고위험 모성 대상자를 시기별로 나누어 고위험 임신간호, 태아의 건강사정, 고위험 분만 및 출산간호,고위험 산모간호의 최신 지견과 중재를 보완하였다. 제2부는 총 10개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편과 더불어 가족중심간호, 아동 및 가족과의 의사소통 내용을 추가하고 영유아기에 발생 가능한 질환과 관련된 최신의 간호 지견과 중재를 보완하였다. 제6장에서는 입원 아동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함께 아동간호에서의 윤리적 고려사항에 대해 설명하였다. 제7장에서는 가족중심간호의 개념과 중재, 더불어 의사소통의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제8장부터 제14장까지는 신생아부터 영유아기까지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중증 질환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제15장에서는 영유아기에 나타날 수 있는 종양 질환에 대한 사정 및 진단검사 방법, 질환에 따른 간호중재의 내용을 기술하였다.
제2부 고위험 아동간호 제6장 입원 아동의 이해 제7장 아동과 가족을 위한 간호중재 및 의사소통 제8장 고위험 신생아간호: 개론 제9장 고위험 신생아간호: 각론 제10장 영유아기 호흡기계 장애 간호: 개론 제11장 영유아기 호흡기계 장애 간호: 각론 제12장 영유아기 심혈관계 장애 간호 제13장 영유아기 체액 및 전해질 불균형 간호 제14장 영유아기 소화흡수 및 배설 장애 간호 제15장 종양을 가진 아동 간호
정지연 (집필)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 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박사 고려대학교 간호학연구소 연구교수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저서: 『지역사회간호학Ⅰ·Ⅱ』, 『간호사를 위한 보건의약관계법규』, 『건강행동론』 등
김혜원 (집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박사 미국 미시간 대학교(앤아버) 간호대학 연수 벨기에 카톨릭 루벤 대학교(루벤) 부인종양학 교실 연구교수 현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저서: 『여성건강 간호학』, 『여성건강의 통합적 관점』, 『간호이론가와 이론』, 『인간발달과 건강증진』 등
이주현 (집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석사 미국 메릴랜드 대학교(볼티모어) 신생아전문간호사 석사후과정 이수 중앙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박사 현재: 을지대학교(성남) 간호학과 부교수 저서: 『아동발달』, 『아동건강간호학Ⅰ·Ⅱ』, 『간호사를 위한 건강사정』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