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를 대표하여 디지털 경제의 흥미로운 여정에 함께하게 되어 기쁘다는 말을 하고 싶다. 이 과목을 통해 독자 및 수강생 여러분이 디지털 시대의 변화를 이해하고, 그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발견하는 통찰력을 얻기 바란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우리 경제와 사회 전반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 책은 『디지털 경제의 이해』 과목의 주교재로서, 디지털 경제의 기본 개념부터 주요 산업의 변화, 그리고 사회적 영향까지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다. 경제학의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디지털 시대의 경제 현상을 이해하고자 하는 학생들뿐만 아니라, 디지털 경제에 관심이 있는 일반 독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 교재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부분인 제1~6장은 디지털 경제를 이해하기 위한 경제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다룬다. 두 번째 부분인 제7~12장은 앞서 배운 개념을 바탕으로 주목할 만한 기술변화와 산업변화를 살펴본다. 세 번째 부분인 제13~15장은 디지털 경제로 인한 더 넓은 사회적 변화와 과제를 다룬다. 디지털 경제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지금도 끊임없이 많은 새로운 현상이 등장하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경제의 특성상 세부적인 내용은 계속 변화할 수 있다. 최신 정보와 보충 자료는 강의 자료실을 통해 제공되는 강의안, 연습문제 등의 학습 자료를 통해 확인하기 바란다.
제1장 디지털 경제의 특성 제2장 고착 효과 제3장 네트워크 효과 제4장 디지털 경제에서의 신뢰 제5장 디지털 경제에서의 가격전략 제6장 디지털 경제의 플랫폼: 양면시장 제7장 인공지능 제8장 블록체인 제9장 게임 산업 제10장 미디어 산업 제11장 공유경제 제12장 이동 산업 제13장 디지털 경제의 이득 제14장 노동의 미래 제15장 기술 발전과 불평등 문제
이남형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학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제학과(석사, 박사)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논문:「경제학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해 알고 있는 것: 역사, 산업 조직, 정책 함의」(공저) 외 다수 저서:『기업경제학』(공저),『기술혁신의 경제학』(공저) 등
손경우
포항공과대학교 수학과(학사)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제학부(석사, 박사) 한국거래소, 국민연금, 우리은행 등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프라임칼리지 융합경영학부 교수 논문:「코스피 롱/코스닥 숏 ETF의 투자전략에 대한 연구」(공저) 외 다수 저서:『글로벌 자산관리』(공저),『글로벌 지역투자』(공저) 등
신우진
전남대학교 경영대학 경제학과(학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제학과(석사, 박사) 성공회대학교 열림교양대학 조교수 현재: 부산대학교 일반사회교육과 교수 논문:「저임금 상태의존성 분석」 외 다수 저서:『위기대응과 노동시장전략』(공저),『영화산업 기업전략』(공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