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반복적인 갈등과 회복 뒤에 따르는 성장과 성숙의 시간은 부부관계가 좋다 혹은 나쁘다는 표현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울 만큼 다층적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결혼과 부부관계가 전통적 틀을 넘어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기술의 발전, 경제적 변화,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영향 속에서 부부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관계의 역동성을 경험한다. 때로는 사랑이 넘치다가도 한순간의 오해로 깊은 갈등에 빠지기도 하며, 그 과정에서 내면에 숨겨진 무의식의 작용이 복잡하게 얽히기도 한다. 이렇게 복잡한 부부체계의 관계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서로 다른 두 사람이 어떻게 다시 하나의 체계, 같이 쓰는 이야기를 만들어 갈 수 있는지에 대한 탐구는 부부상담 및 치료의 핵심 과제이다. 따라서 본 교재는 부부상담 및 치료 이론들이 부부문제를 어떻게 바라보고 다루는지 살펴볼 것이다. 본 교재는 총 4부로 이루어져 있다. 제1부에서는 부부상담 및 치료의 기초와 부부상담 및 치료에 활용되는 관계향상 교육 및 예방 프로그램을 다룬다. 제2부에서는 부부상담 및 치료에 적용되는 가족상담 및 치료 이론으로 보웬의 다세대 부부치료, 전략적 부부치료, 구조적 부부치료, 경험적 부부치료, 인지행동 부부치료, 해결 중심 부부치료, 이야기치료에 대해서 다룬다. 제3부에서는 부부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를 다루는데, 구체적으로 대상관계 부부치료, 통합적 행동부부치료, 정서중심 부부치료, 가트맨 부부치료, 신경과학기반 부부치료, 근거기반 부부상담 및 치료를 살펴본다. 마지막 제4부에서는 부부상담 및 치료 문제 유형별 개입에 대해서 다루며, 이혼상담, 재혼상담, 부부폭력 상담, 외도상담이 포함된다.
제1부 부부상담 및 치료의 기초
제1장 부부상담 및 치료의 기초 1.1. 부부상담의 중요성 1.2. 체계론적 접근 1.3. 부부상담의 실제
제2장 부부상담 및 치료에 활용되는 관계향상 교육 및 예방 프로그램 2.1. 예방과 관계향상 프로그램 2.2. PREPARE/ENRICH 2.3. 결혼검진
제2부 부부상담 및 치료에 적용되는 가족상담 및 치료 이론
제3장 부부상담 및 치료에 적용되는 가족상담 및 치료 이론 3.1. 보웬의 다세대 부부치료 3.2. 전략적 부부치료 3.3. 구조적 부부치료 3.4. 경험적 부부치료 3.5. 인지행동 부부치료 3.6. 해결중심 부부치료 3.7. 이야기치료
제3부 부부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제4장 대상관계 부부치료 4.1. 대상관계 부부치료의 기본원리 및 주요 개념 4.2. 대상관계 부부치료의 실제
제5장 통합적 행동부부치료 5.1. 행동치료와 행동부부치료 5.2. 전통적 행동부부치료의 기본원리 및 주요 개념 5.3. 전통적 행동부부치료의 한계로부터 통합적 행동부부치료로
제6장 정서중심 부부치료 6.1. 정서중심 부부치료의 기본원리 및 주요 개념 _ 6.2. 정서중심 부부치료 실제
제7장 가트맨 부부치료 7.1. 가트맨 부부치료의 기본원리 및 주요 개념 7.2. 가트맨 부부치료의 실제
제8장 신경과학기반 부부치료 8.1. 신경과학기반 부부치료의 기본원리 및 주요 개념 8.2. 신경과학기반 부부치료의 실제
제9장 근거기반 부부상담 및 치료 9.1. 근거기반 실천이란 9.2. 근거기반 부부상담 및 치료
제4부 부부상담 및 치료 문제 유형별 개입
제10장 부부상담 및 치료 문제 유형별 개입 10.1. 이혼상담 10.2. 재혼상담 10.3. 부부폭력 상담 10.4. 외도상담
참고문헌 찾아보기
기쁘다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사회학과 학사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상담심리학 전공) 미국 코네티컷대학교 인간발달 및 가족학과 철학박사(부부가족상담학 전공) •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활과학부 부교수 • 저서 및 역서: 『가족상담 및 치료』(공저), 『가족생활교육』(공저), 『가족관계』(공저), 『가족발달』(공저), 『임상가를 위한 가족치료 연구방법론』(공역), 『가족치료의 최신 임상연구방법』(공역) 등
민주홍
서울대학교 소비자아동학부 학사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석사 미국 남가주대학교 노년학과 박사 • 현재: 강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심리학부 부교수 • 저서 및 역서: 『결혼과 가족』(공저), 『임상가를 위한 가족치료 연구방법론』(공역), 『가족치료의 최신 임상연구방법』(공역) 등
천연미
미국 로체스터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미국 하버드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석사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박사 • 현재: 전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복지학과 조교수 • 저서 및 역서: 『아동상담』(공저), 『임상가를 위한 가족치료 연구방법론』(공역), 『가족치료의 최신 임상연구방법』(공역)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