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 속요, 시조, 가사에 담긴 예술적 아름다움!
한 편의 시가가 만들어 내는 예술적 아름다움은 내용적 요소로 작용하는 소재·정서·사상 등과, 형식적 요소로 작용하는 율격·구조·수사법 등의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할 때 비로소 완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시가에 대한 미학적 접근 역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책은 내용과 형식의 결합에 의해 만들어지는 시가의 예술적 아름다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한국 고전시가가 지니고 있는 미적특성을 밝혀내는 데 중점을 두었다. 예술미와 시가미의 형성과정을 살펴서 논의의 근거로 삼고 작품 내용을 구성하는 요소인 소재·사상·공간 등이 만들어 내는 미적특성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형태를 완성하는 형식을 구성하는 핵심요소인 시간·구조·수사법 등의 미적특성을 살피고, 이것을 바탕으로 한 결론에서 한국시가의 미학적 특성을 도출하는 방식을 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