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장바구니에 상품이 담겼습니다.지금 확인하시겠습니까?
제1부 의복과 인체
제 1 장 | 의복생산1. 1. 의복생산의 방식1. 2. 기성복 생산과정
제 2 장 | 인체관찰2. 1. 체 형2. 2. 인체측정
제 3 장 | 치수설정3. 1. 측정도구와 준비3. 2. 측정방법
제2부 의복설계
제 4 장 | 의복원형4. 1. 원형제도4. 2. 원형의 보정
제 5 장 | 의복원형의 활용5. 1. 길 원형의 활용5. 2. 소매 원형의 활용5. 3. 칼라 기본형의 활용5. 4. 스커트 원형의 활용5. 5. 블라우스 원형의 활용
제3부 의복제작
제 6 장 | 의복제작용구6. 1. 제도용구6. 2. 재단용구6. 3. 봉제와 끝손질 용구
제 7 장 | 옷감 정리와 재단7. 1. 옷감 정리의 필요성과 일반적 주의7. 2. 옷감과 패턴 배치7. 3. 옷감과 시접7 .4. 옷감의 필요량7. 5. 재 단7 .6. 다리미와 프레스7. 7. 옷감의 변형
제 8 장 | 봉제과학8. 1. 의류제품의 재료8. 2. 재봉기(sewing machine)8. 3. 스티치(stitch)와 솔기(seam)8. 4. 생산관리
제 9 장 | 봉제실습9. 1. 기초봉9. 2. 부분봉9. 3. 장식봉9. 4. 타이트 스커트의 생산9. 5. 셔츠 블라우스의 생산
남윤자
서울대학교 가정대학 의류학과 졸업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졸업(석사, 박사)현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교수
박선미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환경학과 졸업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졸업(석사, 박사)현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 패션디자인전공 부교수
1/1
현재 회원님의 휴대폰번호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한국방송통신대학 출판문화원에서는 회원님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주민등록번호를 취급하지 않고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본인인증 정책을 새롭게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회원님의 휴대폰번호가 필요합니다. 마이룸의 ‘내정보 수정’에서 휴대폰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새로운 주소 추가
해당하는 주소를 클릭하시면 하단에 자동입력됩니다. 검색 : 0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