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구비문학개론>보다 전문적이고 깊이 있게 다뤄 글의 성격이나 수준, 구성 등에 있어서 전면적으로 변화를 꾀했다. 자료의 실상과 연구논문 형식의 글을 다양하게 소개함으로써 구비문학의 실제에 다가설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교재를 구성했다. 기존의 교재에서 별도로 구성하지 않았던 재담을 독립적인 장으로 구성한 것은 재담이 가지는 현재적 의미와 활용의 관점에서 특별한 가치를 지닌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교재의 말미에는 구비문학 관련 논저 목록을 수록함으로써 구비문학에 관심의 편폭을 확대하려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했다.
1. 구비문학의 세계
2. 설화의 세계
3. 신화의 세계
4. 전설의 세계
5. 민담의 세계
6. 무가의 세계
7. 민요의 세계
8. 판소리의 세계
9. 민속극의 세계
10. 재담의 세계
11. 속담의 세계
12. 수수께끼의 세계
서대석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문학박사) 한국고전문학회장 역임 한국구비문학회장 역임 국어국문학회 대표이사 역임 전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현재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저서 : 『한국무가의 연구』(1981),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2008), 『한국신화의 연구』(2001), 『한국구비문학에 수용된 재담연구』(2004), 『한·중 소화의 비교』(2007), 『이야기의 의미와 해석』(2011), 『무가문학의 이해』(2011) 외.
박종성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특별연구원,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연구교수 역임 한국구비문학회 편집이사 및 연구이사, 국어국문학회 이사, 국문학회 이사 역임 현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저서 : 『한국창세서사시연구』, 『구비문학, 분석과 해석의 실제』, 『한국-동유럽 구비문학비교연구』(공저), 『동유럽 사람들은 삶을 어떻게 이야기했을까』(공역), 『동유럽 사람들은 삶을 어떻게 노래했을까』(공역)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