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개편한 『고소설론과 작가』는 각 장·절별로 글의 성격을 달리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였다. 체제의 일관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약점일 수 있으나, 개괄적인 서술뿐만 아니라 분석적인 서술을 더불어 접해 보면 고소설 연구의 몇 가지 방식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 점에 유의하면서 이 책을 학습해 나간다면, 고소설을 대상으로 졸업논문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특히 도움이 될 것이다.
‘고소설론과 작가’라는 과목을 이수한 모든 학생이 한국 고소설이 지니는 문학사적 의의와 가치, 그리고 작품에 담겨 있는 미학적 기저와 가치 등을 올바르게 파악하고, 나아가 한국 서사문학의 큰 흐름을 통시적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역임 서울대학교 교수 역임 서울대학교 규장각 관장 역임 국문학회 회장 역임 한국고전문학회 회장 역임 현재: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저서: 『한국고전소설의 탐구』(1981), 『고전소설의 기초연구』(공저; 2001), 『한국고전소설의 이론 Ⅰ·Ⅱ』(2003), 『고전소설의 세계』(공저; 2005) 외
박종성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문학박사) 한국구비문학회 이사 역임 국어국문학회 이사 역임 현재: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국문학회 이사 저서: 『한국창세서사시연구』(1999), 『구비문학, 분석과 해석의 실제』(2002), 『한국·동유럽 구비문학 비교연구』(공저; 2003)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