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의 경제」는 기초 경제학 이론을 학습하고, 이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는 현실 사례를 배우는 과목이다.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전반부에서는 미시경제학과 관련 경제현상을 배우고, 후반부에서는 거시경제학과 관련 경제통계를 배운다. 미시경제학은 경제주체 각각의 의사결정에 초점을 맞추고, 개별적인 의사결정이 시장을 통해 어떻게 조정되고, 그 결과가 사회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효과를 주는지를 검토한다. 거시경제학은 개별 경제주체의 의사결정이 개인보다 더 큰 경제단위에서 어떠한 결과를 가져오는지에 관심이 있고, 그 경제단위는 주로 국가를 기준으로 한다.
제1장 경제학의 기본개념
1.1. 경제란 무엇인가 / 1.2. 희소성과 기회비용 / 1.3. 경제학의 정의
1.4. 경제모형 / 1.5. 경제학의 구분
제2장 수요와 공급 그리고 균형
2.1. 완전경쟁시장의 특징 / 2.2. 수요와 수요곡선 / 2.3. 공급과 공급곡선
2.4. 시장의 균형 / 2.5. 곡선의 이동
제3장 시장교환의 장점
3.1. 왜 시장교환이 일어나는가 / 3.2. 생산가능곡선
3.3. 비교우위 / 3.4. 기회비용, 비교우위 그리고 절대우위
제4장 시장교환의 한계
4.1. 시장실패 / 4.2. 외부효과
4.3. 공공재 / 4.4. 공유자원
제5장 정부의 역할
5.1. 조세 / 5.2. 직접규제와 가격통제
5.3. 정부실패
제6장 시장의 구조
6.1. 완전경쟁시장 / 6.2. 독점시장
6.3. 불완전경쟁시장 / 6.4.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
제7장 거시경제의 특성과 측정
7.1. 거시경제학에서는 무엇을 다루는가? / 7.2. 거시총계지표: 국민소득회계
7.3. 국내총생산의 국제 비교
제8장 장기 경제성장
8.1. 경제성장의 현실 / 8.2. 경제성장과 총생산함수
8.3. 경제성장 차이의 이유
제9장 실업
9.1. 실업의 측정 / 9.2. 자연실업률 / 9.3. 노동시장 균형
9.4. 실업과 임금 경직성 / 9.5. 실업과 경기순환
제10장 화폐와 신용
10.1. 화폐의 기능 / 10.2. 화폐의 수요와 공급
10.3. 화폐, 물가, 국내총생산
제11장 단기 경기변동과 거시경제정책
11.1. 경기변동 / 11.2. 거시경제 균형과 경기변동
11.3. 승수효과와 경기변동 과정 / 11.4. 경기조절정책
제12장 국제무역
12.1. 무역이론의 재검토 / 12.2. 자유무역의 승자와 패자
12.3. 보호무역과 수단 / 12.4.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자유무역
제13장 환율과 거시경제정책
13.1. 환율의 이해 / 13.2. 환율 변화의 원인과 환율제도
13.3. 국제수지와 환율 / 13.4. 개방경제에서의 경기조절정책
부록 1 _ 미시경제학의 발전
부록 2 _ 거시경제학의 발전
이충기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경제학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제학과(경제학석사·박사) 고려대학교 BK21 및 경제연구소 연구교수 •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저서 및 역서: 『성장과 복지의 경제학』(공저), 『환경·자원의 경제학적 접근』(공역)
이남형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경제학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제학과(경제학석사·박사)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연구원 •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논문: 「경제학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해 알고 있는 것: 역사, 산업 조직, 정책 함의」, 「왜 버찌씨를 받을까?: 하이에크 경쟁 화폐 이론의 재구성」(이상 공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