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교재는 총 4부 1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부터 제3장까지는 사례관리의 개관에 해당되는데, 사례관리의 개념과 목적, 특성 등을 실제 예를 활용하여 설명하였다. 우선 사례관리 목적 중의 하나인 클라이언트의 역량 강화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 욕구기반 실천, 반응적 서비스, 네트워크 기반 실천이라는 사례관리의 특성 등을 설명하였다. 또한 사례관리의 구성요소와 원칙, 그리고 윤리, 사례관리의 등장배경과 영국, 미국과 한국에서의 사례관리 발달과정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제2부에서는 이론과 모델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브론펜브러너의 생태체계이론을 자세히 소개하였으며 강점관점, 임파워먼트 관점, 사회적 지지 이론, 네트워크 이론도 제시하였다. 한국 사례관리 현장에의 시사점도 놓치지 않았다. 제3부에서는 사례관리 과정론을 설명한다. 학자들마다 다양한 과정을 제시하지만, 이 책에서는 한국사례관리학회의 것을 준수하였다. 초기상담, 사정, 서비스 계획 수립, 실행과 모니터링, 평가·종결·사후관리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4부는 ‘민·관협력’ 사례관리에 관한 것이다. 민간 사례관리의 대표기관으로 종합사회복지관의 사례관리를 자세히 소개하였는데, 한국사회복지관협회의 허락을 받아 『사례관리 매뉴얼』 일부를 인용하였다. 이밖에 공공 사례관리를 소개하였는데, 공공 사례관리의 변화과정과 쟁점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민·관협력 사례관리를 적절한 예로써 보여주려 하였다. 효과적인 사례관리 수행을 위해서는 다양한 기관들이 개별적으로 사례관리를 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시·군·구 혹은 읍·면·동이든 지역 단위에서 다양한 기관들이 클라이언트의 복합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 특히 민간기관과 공공기관의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민간복지기관이든 공공복지기관이든 지역에서 삶이 힘든 사람들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인식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