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은 변화의 준거점이자 총체적 변화의 시발점이다. 중앙 차원의 거시적 개혁이나 실천은 어려운 반면 지역 차원의 미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쉬울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사회복지는 지역에 존재하는 실체적인 주민들로부터 그 해결책을 모색하면서 중앙 차원, 더 나아가 국가 차원의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이 책은 15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은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묶을 수 있다. 첫 번째 범주는 지역사회복지의 이해 편으로, 제1장부터 제5장에 걸쳐 지역사회복지의 관점과 이론에 대한 내용을 소개한다. 사회복지와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관계에 대해 설명하고 지역사회복지의 역사와 이론과 모델을 다룬다. 두 번째 범주는 지역사회복지의 실천기술 편이라 할 수 있는데,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과정과 기술을 다룬다. 이 파트에서는 먼저 지역사회복지를 개관할 수 있는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수립 과정에 대해 살펴본 후 지역사회복지의 과정과 기술에 대해 학습하는데, 제6장부터 제8장까지가 이에 해당된다. 마지막으로 제9장부터 제15장까지 지역사회복지의 실천현장에 대한 내용을 학습한다. 대표적인 지역사회복지실천현장인 사회복지관, 지역자활센터와 협의·조정기구인 사회복지협의회,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살펴보고 지원기관인 자원봉사센터와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소개한다. 또한 지역사회복지운동과 실천사례를 살펴본 후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성찰한 후 지역사회복지의 전망과 과제에 대해 논의한다.
제1장 사회복지와 지역사회복지의 관점과 관계
제2장 지역사회복지의 이해
제3장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제4장 지역사회복지 이론
제5장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제6장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제7장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원칙과 과정
제8장 지역사회복지실천 기술
제9장 지역사회복지실천현장Ⅰ: 직접서비스기관
제10장 지역사회복지실천현장 Ⅱ: 협의·조정기구
제11장 지역사회복지실천현장 Ⅲ: 지원기관
제12장 지역사회복지운동
제13장 지역사회복지실천 사례
제14장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사
제15장 지역사회복지의 전망과 과제
유해숙
현재: 인천복지재단 대표
(전)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교수
주요 저서: 『사회복지실천론』 (공저, 광문각, 2011), 『학교사회복지』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사회복지정의론』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