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의 개념이 워낙 다양하고 다차원적이기 때문에, 이를 기계적으로 구분하거나 정리하는 것 자체가 무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교재에서는 10개 장에 걸쳐 발전론과 관련한 다양한 이슈들을 소개함으로써 발전행정론에 대한 구체적이면서도 폭넓은 이해를 돕고자 했다.
제1, 2, 3장은 발전론의 의미와 등장, 그리고 발전을 유도 혹은 설명하는 속성으로서 인간행동을 설명하고 있다. 이 장들을 통하여 발전행정론에 대한 기본개념을 정리할 수 있다. 제4장은 경제발전과 발전행정의 관계을 다루며 제5, 6, 7장은 발전론의 재해석과 관련된다. 즉, 발전을 기존의 경제발전 중심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사회발전, 지속가능한 발전 중심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특히 제7장은 공적개발원조를 다루고 있다. 발전행정론이 처음 논의되었던 1960년대의 우리나라는 원조를 받는 국가였지만, 이제는 당당히 다른 국가들을 원조하는 공여국가가 되었다는 점에서 공적개발원조(ODA)를 다루는 것은 매우 의미가 깊다. 제8, 9장은 발전행정론이 실제 국가경영에서 활용되는 부분을 다루었으며, 제10장은 좀더 행정학과 밀접한 주제로 들어가서 발전행정과 관련한 관료제의 역할을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