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은 대부분의 부품을 직접 생산하지 않음은 물론 제조에 관여하는 부분도 상당히 제한적이다. 현대의 자동차도 마찬가지이다. 소비자들은 이런 사실을 잘 알고 있지만 그럼에도 이들 브랜드는 소비자에게 신뢰를 주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코카콜라나 나이키는 사실상 브랜드만 있는 가상기업(virtual corporation)이라 해도 무리가 아니다. 기업의 가치는 그만큼 거의 브랜드 가치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21세기는 기업의 브랜드만큼 개인도 브랜드가 중요한 시대이다. 예를 들어 이제 유튜브 등 개인 미디어의 영향력은 경우에 따라 기존의 매스미디어를 뛰어넘는다. 이렇게 꼭 1인 기업이나 스타트업이 아니라도 개인도 브랜드를 만들고 관리해야 하는 시대이다. 여러분이 본 교재를 학습하는 이유도 그와 같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독자 여러분은 본 교재를 학습하면서 브랜딩에 관련된 다양한 이론과 사례를 시험 볼 때만 잠깐 볼 것이 아니라, 나의 얘기처럼 나의 브랜드를 만드는 데 어떤 도움이 될지 곰곰이 고민해야 한다. 공부를 남이 대신 해 줄 수 없는 것처럼 나의 브랜드도 남이 대신 만들어 줄 수 없는 것이다.
제1장 브랜드의 이해 1.1. 브랜드의 시대 1.2. 브랜드의 정의 1.3. 브랜드의 역사 1.4. 브랜드의 중요성 및 기능 1.5. 브랜드 인지도 1.6. 브랜드 충성도 1.7. 관여도
제2장 브랜드의 구성요소 2.1. 브랜드 네임 2.2. 로 고 2.3. 슬로건 2.4. 캐릭터 2.5. 징 글 2.6. 꾸러미 2.7. 색 채 2.8. 글씨체
제3장 브랜드 자산 3.1. 브랜드 자산의 개념 3.2. 브랜드 자산의 특성 3.3.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의 측정방법 3.4. 브랜드 자산의 형성요인 3.5. 브랜드 선호도 3.6. 브랜드 충성도 3.7. 브랜드 자산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4장 브랜드 개성과 관리 4.1. 브랜드 개성 4.2. 브랜드 유지 및 전환 4.3. 브랜드 제휴 4.4. 브랜드 확장 4.5. 브랜드 제휴 및 확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제5장 브랜드 태도 5.1. 브랜드 태도 5.2. 브랜드 태도의 개념 5.3. 브랜드 태도의 구성요소
제6장 브랜드 계층구조 6.1. 브랜드 관리의 중요성 6.2. 브랜드 계층별 개념과 특성 6.3. 브랜드 유형에 따른 브랜드 전략
제7장 자아 및 브랜드 동일시 7.1. 자아개념의 정의 7.2. 사회적 자아이론과 사회적 동일시 7.3. 동일시의 개념 7.4. 기업 브랜드 동일시와 개별 브랜드 동일시의 구분 7.5. 기업 브랜드 동일시 7.6. 개별 브랜드 동일시 7.7. 자기감시
제8장 스타트업 브랜딩 8.1. 브랜드 경영 8.2. 스타트업 브랜딩 8.3. 스타트업과 브랜드 자산 8.4. 스타트업 브랜딩의 역할 8.5. 스마트 브랜딩
제9장 매장 브랜딩 9.1. 브랜드 점포 9.2. 공간 브랜딩 9.3. SPΑ 브랜드 매장 9.4. 외식업 브랜드
제10장 브랜드 네이밍과 상표출원 10.1. 브랜드 네임 10.2. 브랜드 네이밍의 형태 10.3. 브랜드 네이밍 절차 10.4. 상표출원 10.5. 추가적인 고려사항
제11장 상호명 11.1. 간판의 언어 11.2. 간판언어의 양상 11.3. 간판언어의 특징 11.4. 간판언어의 경향
제12장 상호 디자인 12.1. 간판의 개념 12.2. 간판의 정의 12.3. 간판의 역할 12.4. 간판의 종류 12.5. 도시의 경관과 간판 12.6. 간판의 시각과 환경적 구성요소 12.7. 간판의 시각적 디자인 구성요소 12.8. 한국 간판 디자인의 특징
제13장 브랜드 네이밍 13.1. 브랜드 네이밍 13.2. 브랜드 작명방식 13.3. 의미를 담는 브랜드 작명
제14장 내부 브랜딩 14.1. 내부 브랜딩의 배경 14.2. 내부 브랜딩의 개념 14.3. 내부 브랜딩의 중요성 14.4. 내부 브랜딩의 측정과 구성 14.5. 통합 브랜딩 14.6. 스타트업과 내부 브랜딩 14.7. 브랜드 리더십 14.8. 브랜딩의 내일
제15장 1인 스타트업 15.1. 1인 스타트업의 등장 15.2. 1인 스타트업의 개념 15.3. 1인 스타트업의 유형 15.4. 스타트업 실무
■ 참고문헌 ■ 찾아보기
황희중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우등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 및 박사(마케팅 전공)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과 우등 졸업 대전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무역학과 교수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KCI & SCOPUS Indexed) 수석편집위원장
최재철
중앙대학교 경영학부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재무 전공) 인천시 도시재생대학 전문가 과정 수료 한국주택금융공사 은퇴금융아카데미 수료 한국도로공사 계약담당 제이케이온 Eng미디어 디렉터 현재: 나라앤컴퍼니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