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들은 식품영양학 전공 학생들의 전공 교과목 학습을 위해 인체 내 대사과정이 어떤 방식으로 조화롭게 통합적으로 조절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집필하였다. 물론 화학이나 생물학의 기초가 부족한 학생들도 이 과목에 친근감을 가질 수 있도록 일부 내용을 개괄적으로 간추려 시중 교재에 비해 비교적 적은 분량으로 발간하게 되었다. 이 교재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 1강부터 4강까지는 생화학의 개요 및 체내 대사과정에서 물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효소의 분류, 구조, 작용, 조절에 대한 내용과 함께 효소를 구성하는 아미노산과 단백질의 구조 및 분류에 대해서 다루었다. ❖ 5강에서 9강까지는 이 과목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인 탄수화물 대사와 구연산회로 및 전자전달계로 구성되었다. 해당과정으로 시작하는 글루코오스 대사와 그 조절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해당과정의 산물이 어떻게 구연산회로와 전자전달계로 이어지는지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ATP를 생성해 내는 각 단계에 대해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10강부터 15강까지는 생화학 교과목의 또 다른 중요 부분인 지질과 단백질 대사를 나누어 제시하였다. 체내에서의 합성과 분해가 모두 중요하므로 각각 1강의 분량을 배정하였으며, 마지막 15강에서는 핵산과 유전자의 구조 및 DNA 전사 및 발현에 대해 개괄적인 내용을 수록하였다.
제 1 장 생화학의 기초 제 2 장 물과 pH 제 3 장 아미노산, 펩티드 및 단백질 제 4 장 효소: 작용 메커니즘과 조절 제 5 장 탄수화물의 종류와 구조 제 6 장 탄수화물 대사: 해당과정 제 7 장 탄수화물 대사: 저장 메커니즘과 조절 제 8 장 구연산회로 제 9 장 전자전달계와 산화적 인산화· 제10장 지질의 종류와 구조 제11장 지질 대사: 이화적 대사 제12장 지질 대사: 동화적 대사 제13장 아미노산과 질소 대사: 분해 제14장 아미노산과 질소 대사: 합성 제15장 핵산의 구조와 유전자 발현
김동우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영양학 박사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활과학과 조교수
박은미
미국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영양학 이학박사 현재: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부교수
정자용
미국 Tufts University 영양학 박사 현재: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교수
조진아
미국 Wayne State University 병리학 박사 현재: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조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