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위생학』에서는 식품 위생개요를 시작으로 인체에 위해를 끼칠 수 있는 식품미생물의 종류와 특성을 알아보고, 이러한 미생물에 오염된 식품을 섭취함으로써 발생하는 세균성 식중독과 바이러스성 식중독, 자연독 식중독을 다루었다. 또한 고의 혹은 오용으로 첨가되거나, 잔류 또는 혼입되거나, 제조·가공·저장 중에 생성되는 유해물질에 대해 알아보고 예방법을 제시했다. 식품 또는 식수를 매개로 전파되는 감염병에 대한 이해와 예방법을 안내하고, 식품위생에 영향을 미치는 기생충, 위생곤충 및 위생동물, 식품의 기호성, 영양성,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 식품첨가물, 식품산업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사전예방적인 식품안전관fl인증기준에 대한 내용을 포함했으며, 마지막으로 식품 안전성 및 위해성을 평가하는 기술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따라서 이 교재에서 다룬 내용을 밑거름으로 하여 식품가공 및 저장학, 식품발효학, 식품조리학, 단체급식학, HACCP 등의 학문에 대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교재는 새로운 법규나 최근 변경된 제도를 반영했으나 새로이 개정되는 법규 및 제도에 대해서도 최대한 빨리 수정·보완해 나갈 것이다.
제1장 위생개요 제2장 식품과 미생물 제3장 세균성 식중독 제4장 바이러스성 식중독 제5장 자연독 식중독 제6장 화학적 식중독 제7장 감염병 제8장 기생충, 위생곤충과 위생동물 제9장 식품첨가물 제10장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제11장 위생관리 제12장 식품 안전성 평가 및 위해성 평가
김승민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식품생명공학전공) 박사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부(식품영양학전공) 교수 저서: 『식품미생물학』(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오세욱
고려대학교 유전공학과 박사 현재: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저서: 『재미있는 식품위생학』(수학사), 『식품미생물학』(파워북)
이선영
미국 워싱턴주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박사 현재: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식품영양전공) 교수 저서: 『재미있는 식품위생학』(수학사), 『식품미생물학』(파워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