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관리는 기업과 증권의 가치를 평가하고, 기업의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어떤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기업이 실물자산에 어떻게 투자하는지, 그리고 이 투자를 위하여 필요한 자금을 어떻게 조달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넓은 의미의 재무관리는 크게 기업재무(corporate finance)와 투자론(investments)으로 나뉜다. 기업재무는 좁은 의미의 재무관리를 말하는데, 이것이 바로 이 책에서 다루는 주된 내용이다. 이 책은 재무관리를 처음 공부하는 학생들이 재무관리의 큰 그림(big picture)을 이해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쉽게 설명하였다. 또한 책의 구성뿐만 아니라 설명방식에서도 논리적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전력을 기울였다. 그리고 본문에서 충분한 예제를 통하여 학습내용을 체화할 수 있도록 하였고, 연습문제 또한 풍부하게 제공하여 심화학습을 원하는 학생들의 욕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저자들은 이 책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학생뿐만 아니라 재무관리의 핵심내용을 효과적으로 공부하고자 하는 모든 분들께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고, 또한 내용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학습자들로부터 많은 조언이 있기를 바란다.
제 1 장 재무관리의 개요 제1절 재무관리의 영역 제2절 증권시장 제3절 기업의 목표 제4절 회사의 형태 제5절 현대 재무관리의 발전과정
제 2 장 미래가치와 현재가치 제1절 미래가치와 현재가치 계산의 기초 제2절 연금의 미래가치와 현재가치 제3절 주식과 채권의 현재가치
제 3 장 위험과 수익률 제1절 수익률 제2절 기대수익률과 위험 제3절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과 위험 제4절 자산가격의 결정
제 4 장 투자의사결정 제1절 자본예산의 의의 제2절 투자안의 경제성 평가방법 제3절 순현가법과 내부수익률법의 비교 제4절 투자안의 현금흐름 분석 제5절 위험과 자본예산
제 5 장 자본구조 의사결정 제1절 자본비용과 자본구조 제2절 완전시장하의 자본구조이론: MM이론 제3절 법인세와 자본구조이론 제4절 파산비용과 자본구조이론 제5절 대리비용과 자본구조 제6절 정보의 비대칭과 자본구조 제7절 실무적 가이드라인
제 6 장 배당의사결정 제1절 배당의 개념 제2절 배당이론 제3절 기업의 배당정책 제4절 배당의 기타 유형
제 7 장 장기자본조달과 운전자본관리 제1절 장기자본조달 제2절 운전자본관리
제 8 장 국제재무관리 제1절 외환시장 제2절 환율의 결정과 환위험 제3절 국제자본예산
김종오
∙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The Ohio State University) 경영대학 객원연구원 ∙ 한국증권학회, 한국재무학회 이사 ∙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이우백
∙ 서강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 한국증권학회, 한국재무학회, 한국재무관리학회 이사 ∙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최혁
∙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 ∙ 미국 시카고 대학교(The University of Chicago) 경영학 석사 ∙ 미국 시카고 대학교(The University of Chicago) 경영학 박사 ∙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재무학과 교수 ∙ 한국증권학회, 한국재무학회 회장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장 ∙ 현재: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