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교재는 독성이 큰 유해폐기물에 대하여 그 정의와 분류, 현황, 처리기준 등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방법 등에 이르는 다양한 내용을 다룬다.
총 5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장은 유해폐기물의 기초과학으로서, 단위, 농도, 수소이온 농도지수, 질량보존법칙, 에너지보존법칙 등을 다룬다. 제2장은 유해폐기물의 개요로서, 관련법의 변천, 유해폐기물의 정의와 분류, 처리기준, 전표제도, 그리고 유해폐기물 관련 주요 사건 및 국제제도 등을 다룬다. 제3장은 유해폐기물의 물리학적 처리로서, 침전(물리적 침전), 여과, 막 분리, 부상, 탈기, 흡착 등을 다룬다. 제4장은 유해폐기물의 화학적 처리로서, pH 조절, 알칼리도 조절, 응집/응결, 침전(화학적 침전), 이온교환, 산화/환원, 고도산화 공정, 안정화/고형화 등을 다룬다. 제5장은 유해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로서, 미생물과 환경인자, 미생물 성장동력학, 그리고 다양한 유해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 등을 다룬다.
제1장 유해폐기물의 기초과학
1.1. 단위
1.2. 농도
1.3. 수소이온 농도지수(pH)
1.4. 질량보존법칙
1.5. 에너지보존법칙
제2장 유해폐기물의 개요
2.1. 폐기물 관련법의 변천
2.2. 폐기물의 정의와 분류
2.3. 유해폐기물의 처리기준
2.4. 유해폐기물의 전표제도
2.5. 유해물질 및 유해폐기물 관련 주요 사건
2.6. 유해폐기물 관련 국제제도
제3장 유해폐기물의 물리적 처리
3.1. 침전(물리적 침전)
3.2. 여과
3.3. 막 분리
3.4. 부상
3.5. 탈기
3.6. 흡착
제4장 유해폐기물의 화학적 처리
4.1. pH 조절
4.2. 알칼리도 조절
4.3. 응집/응결
4.4. 침전(화학적 침전)
4.5. 이온교환
4.6. 산화/환원
4.7. 고도산화
4.8. 안정화와 고형화
제5장 유해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
5.1. 미생물과 환경인자
5.2. 미생물 성장동력학
5.3. 유해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
한선기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공학사) KAIST 토목공학과(환경공학석사) KAIST 토목공학과(환경공학박사) 미국 아이오와 주립대학교(ISU) Post–doc. Research Associate 미국 오리건 주립대학교(OSU) Visiting Professor 미국 위스콘신 주립대학교(UW–Madison) Visiting Professor 현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보건환경학과 교수 저서 : 『환경미생물학』, 『생활폐기물관리』, 『환경과 대체에너지』, 『토양지하수관리』(이상 공저) 등
이채영
고려대학교 토목공학과(공학사) KAIST 토목공학과(환경공학석사) KAIST 토목공학과(환경공학박사) (주)삼성건설 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파트장 현재 : 수원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저서 : 『생활폐기물관리』, 『환경과 대체에너지』(이상 공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