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영양학’은 지역사회 구성원의 영양상태 개선을 통해 공동체의 건강 유지 및 증진을 목표로 하는 영양학의 한 응용분야이다. 사회경제적 발전과 산업구조의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지면서 평균수명의 상승, 고령인구의 증가, 저출산 및 식생활의 변화와 함께 질병구조가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영양학’은 개인의 유전적 측면의 영양이나 건강뿐만 아니라 경제 사회 전반과 인간의 심리 문화 등 식생활과 관련된 부분을 모두 감안하여 계획하고 실시되어야 한다. ‘지역사회영양학’의 내용은 다양한 학문의 이론과 시대 변화를 반영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지역주민의 건강유지와 증진은 개인의 차원을 넘어 지역사회는 물론 국가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교재가 식품영양학 전공 학생들은 물론 영유아시설, 보건소, 학교, 산업체, 복지시설 등에서 종사하는 영양사와 의료 보건 및 영양교육 업무에 관련된 전문인들에게 지역사회영양학에 대한 이해와 기법, 실제 활동능력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제 1 장 지역사회영양학의 개요 제 2 장 건강증진과 지역사회 영양활동 제 3 장 지역사회 영양사업을 위한 연구방법 제 4 장 지역사회 영양사업을 위한 활용 도구 제 5 장 지역사회 요구진단 제 6 장 지역사회 구성원의 영양상태 평가 제 7 장 국민건강영양조사에 근거한 건강 및 영양진단 제 8 장 지역사회 영양사업의 계획 및 적용 이론 제 9 장 지역사회 영양사업의 실행과 평가 제 10 장 임신수유부 및 영유아를 위한 영양사업 제 11 장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영양사업 제 12 장 성인 및 노인을 위한 영양사업 제 13 장 영양정책의 행정조직과 법규 제 14 장 세계의 영양문제 제 15 장 외국의 영양정책과 지역사회 영양활동
김동우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석사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영양학 박사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부 교수
이수경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석사 미국 코넬대학교 영양학 박사 영국 런던대학 보건학 석사 미국 헌터컬리지, 럭거스대학 교수 현재: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이윤나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석사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영양학 박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영양정책팀장 현재: 신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정상진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석사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영양학 박사 현재: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