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두 가지 목적: 사회 유지 및 번영과 개인의 가치 실현
교육의 목적이 사회 유지와 번영에 있든, 개인의 가치 실현에 있든 교육은 항상 신념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교사는 교사로서의 신념이나 사명감, 책임감을 가지고 교육활동을 펼쳐야 한다. 큰 틀에서 인간을 키운다는 ‘거대 서사적’ 모습과 다양한 수업전략을 구사하여 그 목표를 달성하려는 ‘미시 서사적’ 태도로 교육에 임할 필요가 있다.
중세 이후 보통교육이 등장하면서 교육의 개념 형성
이러한 개념의 교육은 중세 이후 국민에 대한 보통교육이 나타나면서 체계가 형성되었다. 또한 시대와 사회의 변화에 따라 교육도 점차 변화하면서 오늘날과 같은 교육 체제와 내용, 방법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교육의 역사를 살펴보면, 중세 이후에는 루소, 페스탈로치 같은 학자들이, 근대를 지나 현대에 들어오면서부터는 많은 교육철학자가 교육의 변화를 이끌었다. 이들로 인해 교수학습 방법이나 교육내용 선정 등과 같은 교육학에서의 기초적인 개념들이 등장했고 가르침에 대한 신념이 시대와 사회적 변화를 바탕으로, 학습자와의 관계에서도 변화했다. 그리고 교육에 대한 신념은 교사에게도 중요한 것이 되었다. 이러한 신념은 교육철학으로 자리 잡았고 오늘날 교육의 거대한 틀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교육의 사상사 측면과 현대의 교육철학에서 바라본 교육학에 대한 이해
이 책은 교육의 사상사 측면과 현대의 교육철학 측면에서 바라본 교육학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이 책을 통해 두 가지 관점이 서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살펴보면서 교육학의 역사적 흐름과 그 속에서 펼쳐지는 교육의 ‘거대 서사’와 ‘미시 서사’를 이해하고자 한다. 시대적으로 이러한 흐름에 기여한 대표학자들을 살펴볼 뿐만 아니라 현대에 들어오면서 교육의 과학화 운동이 영향으로 발전한 심리학, 특히 행동주의와 발달심리학의 주요 이론과 학자들의 주장을 들여다봄으로써 이 책에서 다루는 교육학에 녹아 있는 철학과 여러 사상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이 교육의 사상적 흐름이나 교육철학 모두를 담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교육사상 변천의 주된 흐름에 대한 것은 대부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관, 교육내용이나 교육방법 등에 대한 역사적 흐름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대의 교육철학에 대한 주요 내용도 함께 다루고 있어 교육의 개념 이해나 교육관의 정립 등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