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혁신의 복잡성을 고려할 때, 이 책은 단순히 경제학의 관점만 담고 있지 않다. 역사학, 심리학, 산업공학, 경영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 성과를 포함하고 있다. 앞으로 배우겠지만, 서로 다른 지식의 조합으로부터 새로운 지식이 만들어지기 마련이다.
이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제1장부터 제5장까지는 혁신의 경제적 의미, 공정혁신과 제품혁신의 특징, 혁신과 가격전략, 표준경쟁, 그리고 경제학적 관점에서의 지식재산권 등 혁신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본 개념을 다루고 있다. 제6장부터 제10장까지는 창의성, 기업가정신, 혁신 프로젝트의 선정, 혁신조직의 구성, 신제품 개발과정 관리 및 개발조직 관리, 협력개발 등 기업의 혁신 노력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고 있다. 제11장부터 제15장까지는 혁신과 시장구조, 고용변화, 경제성장, 국제무역 등 혁신 노력의 결과물이 확산됨에 따라 경제 전반에 걸쳐 나타날 수 있는 이슈와 혁신활동과 관련된 정책 문제를 다룬다.
관련 강의 동영상 시청과 이 책의 독서를 마친 후, 경제학이 혁신을 바라보는 출발점, 즉 혁신과 발명의 차이를 잘 이해하고, 혁신 프로젝트 관리, 가격전략, 그리고 특허 및 표준화 전략 등 기업의 전략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실제 업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기를 바란다. 한편으로, 혁신으로 인한 고용 및 소득의 변화, 경제성장, 그리고 무역 등의 거시경제적 이슈와 혁신 관련 정부정책의 배경과 방향도 이 책을 통해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장 기술경제학의 기초 개념
1.1. 혁신의 경제적 의미 / 1.2. 혁신의 분류 / 1.3. 혁신의 과정
제2장 혁신의 유형과 양상
2.1. 공정혁신 / 2.2. 제품혁신
제3장 혁신과 가격전략
3.1. 가격차별 / 3.2. 가격차별의 종류 / 3.3. 가격차별의 예
제4장 표준경쟁
4.1. 사실상의 표준과 경쟁 / 4.2. 네트워크 효과와 고착효과 / 4.3. 표준경쟁의 전략
제5장 지식재산권과 특허
5.1. 지식재산의 보호와 근본적 딜레마 / 5.2. 지식재산의 제도적 보호 / 5.3. 지식재산의 전략적 보호 / 5.4. 지식재산의 새로운 접근
제6장 창의성, 기업가정신, 프로젝트 선정
6.1. 창의성 / 6.2. 기업가정신 / 6.3. 혁신 프로젝트의 선정방법
제7장 혁신조직과 비전
7.1. 혁신의 재검토 / 7.2. 혁신조직 / 7.3. 비전
제8장 신제품 개발과정 관리
8.1. 신제품 개발과정의 목표 / 8.2. 개발과정 및 이해관계자 / 8.3. 개발과정의 개선과 성과측정
제9장 신제품 개발조직 관리
9.1. 신제품 개발팀의 구성 / 9.2. 신제품 개발팀의 구조 / 9.3. 신제품 개발팀의 관리
제10장 협력개발과 혁신 클러스터
10.1. 독자개발과 협력개발 / 10.2. 협력 대상의 선정과 협력 거버넌스 / 10.3. 클러스터의 개념과 특징 / 10.4. 혁신 네트워크
제11장 혁신의 확산과 시장구조
11.1. 혁신의 확산 / 11.2. 시장구조와 혁신
제12장 혁신과 고용
12.1. 기술변화와 고용변화의 짧은 역사 / 12.2. 기술과 고용변화 / 12.3. 자동화와 불평등
15.1. 기술개발과 시장실패 / 15.2. 정부의 혁신 지원 / 15.3. 정부의 연구비 지원과 성과 공개
이남형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경제학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제학과(경제학 석사, 박사)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연구원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논문:「행위자 기반 시뮬레이션을 통한 공공 연구개발비 지출제도 비교 연구」(공저) 외 다수 저서:『기업경제학』(공저), 『생활 속의 경제』(공저) 등
정세윤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연합전공 기술경영(공학사)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산업공학과(공학석사) 한국과학기술원 경영대학원 경영공학부(공학박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래전략연구소 연구원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프라임칼리지 첨단공학부 교수 논문:「자회사 MVNO의 존재가 경쟁 관계인 독립 MVNO에 미치는 영향」 외 다수 저서:『산업공학개론』, 『경영조사분석』(공저), 『경영의사결정론』(공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