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의 시대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코로나 19와 함께 빠르게 다가온 뉴노멀 시대에 어떠한 사회 변화가 이루어질까? 미래는 무엇보다도 과학과 기술의 발달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특히 공학교육이 유아기부터 더욱 강조될 것이다. 따라서 과학이 주는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유아기부터 과학적 사고를 통해 합리적 사고결정을 할 수 있고, 미래를 대비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춘 인재 양성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교사의 역할이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재정립될 필요가 있다.
많은 연구자가 제시한 것처럼 유아들은 과학적 자아를 가지고 태어나기 때문에 유아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북돋아 준다면 실생활 속에서 과학적 사고를 통해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 사회에 경쟁력을 갖춘 인재로 자라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유아들의 호기심을 북돋아 과학적 사고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하는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고, 이런 점에서 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절실히 요구된다.
『유아과학교육』은 유아를 위한 과학교육의 기초를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 과학에 대한 유아의 관심이나 놀이를 관찰하고 이를 지원해 줄 수 있는 자질을 갖추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 교재에서는 교사들이 유아과학교육에 대해 보다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는 능력을 키워 주기 위한 유아과학교육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을 고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 과정에서 특히 현행 국가수준 교육과정인 2019 개정 누리과정 자연탐구 영역의 과학교육에서 강조하는 유아·놀이 중심의 접근을 위한 유아과학 관련 놀이 사례와 지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