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의 이해』는 기초 경제학 이론을 학습하고, 이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는 현실 사례를 배우는 과목이다.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제1장부터 제8장까지의 전반부에서는 미시경제학과 관련 경제현상을 배우고, 제9장부터 제15장까지의 후반부에서는 거시경제학과 관련 경제통계를 배운다. 전반부에서 학습하는 미시경제학은 소비자와 생산자 각각이 어떻게 의사결정을 하며, 이 개별적인 의사결정이 시장을 통해 어떻게 조정되는지, 그리고 그 결과가 사회에 어떠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효과를 주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후반부에서 학습하는 거시경제학은 개별 경제주체의 의사결정이 국가와 같은 더 큰 경제 단위에서 어떠한 결과를 가져오는지, 그리고 이러한 결과가 국가 전체의 생산, 고용, 물가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심을 둔다.
이 교재의 모든 장은 개요, 본문, 읽기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개요에는 각 장의 중점 내용을 요약한 학습개요, 각 장의 공부를 마치고 나면 알고 있어야 하는 것을 정리한 학습목표, 그리고 각 장에서 이해해야 하는 주요용어를 제시했다. 본문에서는 경제학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복잡한 수식 대신 그래프를 통해 표현했다. 제2장과 제3장의 수요와 공급 모형을 충분히 이해하는 것이, 이후의 내용을 학습하는 데 중요하다. 각 장의 끝에 있는 읽기자료는 미시경제학 부분에서는 경제학 이론이 현실 경제문제를 어떻게 설명하는지 사례를 제시하고, 거시경제학 부분에서는 관련 경제통계의 확인 방법 및 스스로 생각해 볼 만한 문제를 제시하여 이해를 돕고자 했다.
제1장 경제학의 기본개념
제2장 수요와 공급
제3장 시장균형과 균형의 변화
제4장 시장교환의 장점
제5장 시장교환의 한계
제6장 정부의 역할
제7장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시장
제8장 과점과 독점적 경쟁
제9장 거시경제의 특성과 측정
제10장 장기 경제성장
제11장 실업
제12장 화폐와 신용
제13장 단기 경기변동과 거시경제정책
제14장 국제무역
제15장 환율과 거시경제정책
이충기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경제학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제학과(경제학석사·박사) 고려대학교 BK21 및 경제연구소 연구교수 •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저서 및 역서: 『고급미시경제론』(공저), 『기업경제학』(공저), 『성장과 복지의 경제학』(공저), 『환경·자원의 경제학적 접근』(공역) 등
이남형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경제학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제학과(경제학석사·박사)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저서 및 역서: 『기술혁신의 경제학』(공저), 『기업경제학』(공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