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교양학과 교과목인 <전통사회와 생활문화>의 이번 개편 교재에는 경제생활, 의식주생활, 공동체생활, 계층별 생활, 의례생활의 5부로 나누어서 부별 3장씩 전체 15장으로 구성하였다. 경제생활에서는 농경생활, 어업과 어민생활, 장시생활을 택하였다. 특히 어업과 어민생활은 교재에서 처음으로 다루었는데, 우리나라가 3면이 바다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다만 그밖에 다양한 경제생활은 다루지 못하였다. 의식주생활에서는 의생활, 전통사회와 음식, 주생활의 3부분으로 나누었기 때문에 외형적으로는 부의 성격과 가장 잘 들어맞는다. 그러나 실제 내용에서는 각각 전반적인 실상을 다루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공동체생활에서는 마을과 계, 민장 속의 다양한 모습, 교육과 과거의 3부분으로 나누었다. 계층별 생활에서는 관료와 양반의 삶, 여성의 혼인·사랑·일, 노비를 선택하였다. 의례생활에서는 출산과 혼인, 상장례와 제례, 마을제와 가정신앙을 다루었다. 기본적으로 관혼상제와 마을제를 살펴보아 의례생활을 일정하게 포괄하고 있다고 본다. 주제마다 서술 방식은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조선 후기를 중심으로 이 시기의 삶과 문화를 충실히 담으려고 노력하였다. 근대 이전 우리나라의 소중한 ‘전통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제1부 경제생활 제1장 농경생활 제2장 어업과 어민생활 제3장 장시생활
제2부 의식주생활 제4장 의생활 제5장 전통사회의 음식 제6장 주생활
제3부 공동체생활 제7장 마을과 계 제8장 민장 속의 다양한 모습 제9장 교육과 과거
제4부 계층별 생활 제10장 관료와 양반의 삶 제11장 여성의 혼인·사랑·일 제12장 노비
제5부 의례생활 제13장 출산과 혼인 제14장 상장례와 제례 제15장 마을제와 가정신앙
송찬섭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박사)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교수 저서: 『1862년 농민항쟁』(공저), 『조선 후기 환곡제개혁연구』, 『실학파와 정다산』(엮음), 『조선사회정책사』(엮음) 등
안승택
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류학과(박사)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 저서: 『식민지 조선의 근대농법과 재래농법』, 『놀이로 본 조선』(공저) 등
오창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류학과(박사) 현재: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저서: 『동해의 전통어업기술과 어민』 등
오석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민속학(박사과정 수료) 현재 : 충남역사문화연구원 연구실장 저서 : 『기지시줄다리기』(공저), 『당진 안섬 당제』(공저) 등
최은수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박사) 현재: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 서울시문화재위원, 한국복식학회 이사 저서: 『조선시대 백관의 단령』,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공저), 『우리 옷 이천년』(공저), 『생활사 여행』(공저), 『韓國民俗學の 日本民俗學Ⅰ』(공저) 등
정연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박사)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 저서: 『일상으로 본 조선시대 이야기(1, 2)』, 『영조 대의 양역정책과 균역법』,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공저) 등
정정남
경기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박사) 현재 : 경기대학교 건축학과 연구교수 저서 : 『민가건축』(공저), 『한국건축개념사전』(공저), 『한국건축통사』(공저) 등
박현순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박사) 현재 :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HK교수 저서 : 『조선 후기의 과거』, 『조선 서원을 움직인 사람들』(공저) 등
이성임
인하대학교 대학원 사학과(박사) 현재: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책임연구원 저서: 『조선의 일상 법정에 서다』(공저), 『‘몸’으로 본 한국여성사』(공저) 등
권내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박사) 현재: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저서: 『조선 후기 평안도 재정 연구』, 『노비에서 양반으로, 그 머나먼 여정』 등
강정원
독일 뮌헨대학교 인류학과(박사)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교수 •저서: 『김치와 김장문화의 인문학적 이해』(공저), 『김치의 인문학적 이해』(공저), 『아무르강 소수민족 곰 의례 민속지』(공저) 등
안혜경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민속학(박사) 현재: 지역문화연구소 상임연구원 저서 : 『잡담과 빙고』(공저), 『한국의 가정신앙』(공저), 『민속문화가 외래문화를 만나다』(공저), 『민속문화의 지속과 변화』(공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