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그동안 20여 권의 한국문학에 대한 전문 학술서적을 펴낸 바 있는 필자가 최근 20여 년의 한국문학과 텍스트를 꼼꼼하게 분석, 기발한 발상과 예리한 풍자정신에 근거하여 엽기 패러디 현상을 표출한 새로운 문학 동향을 명쾌한 시각에서 조명한 문학 비평서다.
제 1 부. 도입
1. 엽기 · 패러디 시대의 한국문학
제 2 부. 지배전략에 맞선 저항의 논리
1. 한 낭만주의자의 현실 초월과 극복의 목소리
2. 광주민중항쟁의 문학적 형상화
3. [왕릉일가]의 판소리 패러디적 양상
4. 계급 초월을 통한 여성의 정체성 찾아가기
제 3 부. 불확실성 시대의 존재 확인
1. [경마장 가는 길]과 독자의 생산적 참여
2. 상실시대의 미학
3. 이순원 문학에 나타는 포스트모던적 사고
4. 식문화를 통해 본 소외와 권태
5. 상실 · 허무 속에 피어난 낙관주의의 미학
6. 몸의 철학에 맞선 기독교적 순애보
7. 박일문 소설에 나타난 인물의 특성
8. 잃어 가는 것들에 대한 회한
9. 문학적 상상력과 역사적 상상력
10. 현상과 문학적 해석
11. 본래적 자아, 찾아 나서기
12. 되돌아보기와 되돌아서기의 양면성
제 4 부. 디지털 시대의 문학
1. 복제와 변형의 한국문학
제 5 부. 최근의 북한문학
1. 최근의 북한문학의 흐름
박태상 (집필)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사)서울평양학회 회장, 미국 미시간 주립대학교(MSU) 객원교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울산지역대학 학장, 대통령자문기구 제11~15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겸 자문위원, 동아일보 「건강한 인터넷 운동」 국민운동본부장, 옥천 지용제 운영위원 겸 홍보이사 현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겸 대전충남지역대학 학장 소설가 및 문화평론가 저서 : 『원본김기림시전집』, 『정지용의 삶과 문학』, 『문화콘텐츠와 이야기담론』, 『문화통합론과 북한문학』, 『북한문학의 사적 탐구』, 『엽기·패러디시대의 한국문학』, 『한국문학과 죽음』, 『전통부재시대의 문학』, 『북한의 문화와 예술』, 『한국문학의 발자취를 찾아서』, 『박태상의 동유럽 문화예술산책』 등 35권 장편역사대하소설, 『사랑의 향기』(1~3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