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이 산업화 이후 채택했던 농업정책과 그의 시행과정을 살펴본 책. 이 책은 국토, 인규의 규모, 위도상의 지리적 위치, 더 나아가 산업화 이후 국가의 경제가 처한 환경이 우리나라와 유사한 영국과 영국이 개방화 과정에서 영향을 받은 미국의 농업정책 내용을 비교하여 소개한다. 그래서 산업화 이후 오늘날의 세계화 시대에 한국의 농업정책기조를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를 생각하는데 도움을 준다.
제Ⅰ부 영국의 농업편
제1장 19세기 후반기 영국의 농업 상황
1. 서언
2. 19세기 후반기 영국 농업의 실태
3. 19세기 후반기 영국 농업공황의 원인
4. 19세기 후반기 영국 농업 상황의 특징
5. 결언
제2장 현대 영국 농정기조의 성립
1. 서언
2. 농업 대불황 이후 영국의 농업구조
3. 변혁 전후의 사회경제적 상황
4. 보호농정의 출현
5. 결언
제3장 영국 현대 농정의 운영실태
1. 서언
2. 현대 농정제도의 개선 및 운영
3. 농산물유통조직과 농민협동의 실체
4. 결언
제Ⅱ부 미국의 농업편
제1장 19세기 후반기 미국의 농업구조
1. 서언
2. 19세기 후반기 미국 농업의 기본구조
3. 19세기 후반기 미국의 농업문제
4. 결언
제2장 대공황기 미국의 농업
1. 서언
2. 1920년대 미국의 농업구조
3. 대공황기(1929~1933년)의 농업
4. 결언
제3장 뉴딜의 농정기조
1. 서언
2. 뉴딜 농업정책 등장의 대전제
3. 뉴딜 농업정책의 출범
4. 결언
제4장 현대 미국의 농정기조
1. 서언
2. 전후 미국의 농업 상황
3. 전후 미국의 농업정책 운영에 대한 논쟁
4. 결언
윤영자 (집필)
이화여자대학교 및 동 대학원 졸업(교육학석사)
건국대학교 대학원 졸업(경제학석사 및 박사)
캐나다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객원교수
캐나다 Simon Fraser University 초빙교수
현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저서 : 『경제사개설』,『시사경제론』,『경제체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