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변하는 환경과 21세기 패션마케팅
패션은 변화무쌍하다. 패션 산업의 환경도 끊임없이 변한다. 게다가 몇 년 사이 부쩍 높아진 국내 패션 소비자들의 안목과 해외 유명 브랜드의 무차별적인 유입은 국내 패션 업계 종사자들의 고민과 부담을 한층 깊게 하고 있다. 그러나 전 세계적 경제 위기 속에서도 사고의 전환을 통한 유연한 대응으로 살아남는 기업이 있듯이 패션계도 지금까지의 획일적인 대응에서 벗어나 새로운 전략을 구사한다면 기회는 얼마든지 있다.
이 책은 패션마케팅 연구자이자 현업 종사자인 저자가 소비자를 지향하는 사고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현실적인 주제와 논의를 이끌어간다. 식상하다고 치부되어 버리는 패션마케팅 이론을 소비자의 입장에서 새롭게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관점과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한다. 패션계 종사자는 물론 학생과 소비자들도 쉽고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시작하며
chapter 1.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패션마케팅 전략 기획하기
들어가기 : 변화를 전략으로 개발하라
급격한 기후 변화에 대처하는 패션 산업의 자세
유통 채널 간의 갈등과 해결 방안
위탁 제도와 사입 제도의 함정과 실제
패션상품의 번들링을 통한 차별화 전략
패션상품의 재고관리에 관한 재인식
브랜드 개성 추구와 유행 반영의 전략적 선택
chapter 2. 소비자를 설득하는 패션마케팅 전략 실행하기
들어가기 : 소비자를 합리적으로 설득하라
촉진 전략의 유형화와 단계적 마케팅 전략
구매 시점에서 상황의 영향과 판매촉진 전략
판매 촉진과 전략적 활성화 방안
패션 브랜드의 동조와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적용
광고 모델과 패션 브랜드의 광고 전략
마케팅 믹스를 통한 가격 할인의 이해
chapter 3. 소비자의 입장에서 패션마케팅 전략 따라잡기
들어가기 : 소비자의 눈높이로 시장을 보라.
소비자 불평행동에 관한 구조적 접근
인터넷 쇼핑몰 창업과 운영 전략
스타일과 브랜드를 고려한 상품의 선택
상품 후기의 영향과 전략적 활용
패션상품의 구매와 정보원 활용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소비자 인식
전대근 (집필)
한국외국어대학교 불어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패턴, 사이즈 설계, 바디 제작을 중심으로 패션 업체에 토털 컨설팅을 제공하는 (주)핏앤바디의 대표이사로서 국내외 패션 시장 환경 조사 및 분석, 해외 마케팅에 주력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등에서 패션마케팅 강의를 맡고 있으며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에서 유행과 패션 상품에 대한 다양한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패션을 비롯한 최신 트렌드에 관심이 깊고 배낭여행과 이종격투기를 좋아한다. 역서로 『2012 유통 트렌드 Retailing in the 21st Century』(공역, 한국체인스토어협회, 2008)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