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제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라 낭만적인 기대와 부푼 꿈을 갖고 대학 들어온 신입생들의 첫번째 좌절은 첫 학기 중간고사다. 객관식 시험에 익숙해져 있다가 두세 개의 문제를 주고 B4 용지를 가득 메우라는 서술시험 문제를 보고 당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문이 제공되는 논술시험의 경우에는 어떻게든 칸을 메울 수 있지만, 서술시험은 대부분 문제만 제공되기 때문에 제대로 준비하지 않으면 무엇을 어떻게 써내려가야 할지 막막하게 된다. 자, 그렇다면 A+를 위해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논술형이나 서술형으로 출제되는 주관식 시험에 답안을 쓰는 일은 출제자와 수험자의 소통행위임을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이 책에서는 출제유형 분석, 채점 기준, 유형별 답안작성 예시, 바른 문장 쓰기, 개성적 답안 작성법 등에 대한 확실한 기술들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대학생뿐 아니라 중·고등학생, 임용고시·사법고시·대학원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과, 시험을 출제하고 평가하는 분들에게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정보가 될 것이다.
시작하며
chapter 1 서술시험 출제 배경과 특징
1. 시험은 의사소통이다
2. 시험 문제의 종류
chapter 2 서술시험 문제 유형과 채점 기준
1. 서술시험 출제 유형
진술 방법에 따른 유형
답안분량을 제한하는 유형
학문영역별 유형
2. 유형별 채점 기준
요약형
설명형
논술형
chapter 3 유형별 시험 답안 작성 방법과 사례
1. 요약형 시험
한 문장 요약하기
한 문단 요약하기
두 문단 이상 요약하기
2. 설명형 시험
비교-대조형
이유-근거형
분류-분석형
3. 논술형 시험
문제제기-문제해결형
비판-주장형
chapter 4 성공적인 서술시험 답안 작성 길라잡이
1. 서술시험 답안의 구조 이해하기
서술시험 답안 구성의 기본 - 문단
효과적인 문단 구성의 방법
서론 - 본론 - 결론에 들어가야 할 요소
단락 수에 적합한 글의 전개 방법
개요작성의 방법
2. 좋은 답안 쓰기 방법
적절한 논건 마련 방법
바른 문장 쓰기
개성적인 답안 작성 방법
3. 서술시험 답안의 모양 만들기
chapter 5 효과적인 서술시험 준비 방법
1. 아는 것이 힘이다
2. 준비한 만큼 성공한다
3. A+을 향하여
한금윤 (집필)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대학원 졸업. 문학박사,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의사소통센터 교수. 현대인에게 필요한 ‘글’과 ‘말’과 관련된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등의 언어활동에 대해서 가르치고 있다. 자신과 타인, 세상, 자연과 소통하는 적합한 언어활동에 관심을 가지며, 사실적인 세계를 이해하고, 드러나지 않는 세계를 상상하여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 다른 사람과 공감하는 소통의 장을 확장해 나가는 길을 모색하고 있다. 저서로 『모던의 욕망, 일상의 비애』(프로네시스, 2006), 『한국 현대소설 형성과 현대성 담론』(푸른사상, 2005)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