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도서는 방송대 교과서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본문과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외부 독자를 위해 고급 사양으로 별도 제작된 도서이오니,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을 이미 구입하신 고객께서는 중복 구매하는 일이 없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의상 디자이너로 활동하기 원하는 사람은 무엇보다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개념을 이해하고 다양한 재료 및 용구의 사용 기법을 잘 익혀두어야 한다. 이는 디자이너의 디자인 발상을 상대방에게 보다 정확히 이해시키는 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 과정에서 새로운 선을 발견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구상하는 데도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이와 같은 의상 디자인의 표현을 위한 수단 외에도 패션계의 광고, 디스플레이 혹은 이미지 메이킹을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제1장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이란 무엇인가?
제2장 응용해부학
제3장 패션 인체의 묘사법 분석
제4장 패션 인체드로잉
제5장 패션 실루엣과 상의 디테일의 표현
제6장 하의 디테일의 표현
제7장 트렌드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제8장 액세서리와 표현
제9장 직물과 기본 표현
제10장 니트와 모피의 표현
제11장 프린트 패턴과 표현
제12장 스트라이프 패턴과 응용 패턴 표현
제13장 도식화와 스펙
제14장 남성복의 표현
제15장 아동복의 표현
백영자 (집필)
서울대학교 가정학과(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직물복장 전공(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직물학과(박사)
덕성여자대학교 교수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 객원교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학장
문화재청 문화위원(2005∼2011)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명예교수
설경 백영자 복식문화관(설경디자인 연구소, 설경궁중복식공방) 관장
저서『조선시대의 어가행렬』(문화체육부 우수도서 선정, 한국의류학회 이흥수 저술상),
『한국복식의 역사』,『 한국의복구성』,『 서양복식문화사』외 다수
기타 1988년 서울올림픽 개·폐회식 공연의상 디자인
한국가상캠퍼스(전국 10개 대학 연합)‘Best Teacher상(한국복식)’2회 수상
하지수 (집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가정학사)
미국 Parsons School of Design New York B. F. A.
서울대학교 대학원 복식 미학 패션대자인 전공(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복식 미학 패션디자인 전공(박사)
현재 :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부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