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관리론』 교재는 오늘날 공공영역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성과관리 제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나라 공공기관이 일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 한편, 직접 조직생활을 하는 경우 경험하게 될 성과관리 제도에 잘 적응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 공공영역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성과관리 제도의 본질과 내용에 대한 과목으로, 성과관리가 공공영역에 필요한 이유와 운영방법, 현실에서의 제도에 대한 이해, 문제점 등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현재의 행정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성과관리 제도에 대한 심도 깊고 적실한 이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 1 장 성과관리의 이해 1.1 성과와 관리 1.2 성과관리의 개념적 이해 1.3 공공영역의 성과관리
제 2 장 성과관리의 가치 2.1 효율성과 효과성 2.2 경제성과 공공성 2.3 고객지향적 가치
제 3 장 성과관리의 이론 3.1 인간에 대한 시각의 발전 3.2 공공선택론 3.3 주인-대리인 이론
제 4 장 성과관리의 도구 4.1 MBO 4.2 TQM 4.3 논리모형 4.4 BSC
제 5 장 성과관리의 과정과 계획 5.1 성과관리의 과정 5.2 성과관리 계획의 수립 5.3 성과지표의 개발
제 6 장 성과의 측정 6.1 성과측정 체계 6.2 목표와 순위 6.3 성과지표의 종류
제 7 장 성과의 평가 7.1 성과평가의 이해 7.2 평가의 종류
제 8 장 성과의 분석과 활용 8.1 성과의 분석 8.2 결과의 활용
제 9 장 성과관리 제도의 발전 9.1 미국 성과관리 제도의 발전 9.2 다른 국가의 성과관리 제도
제 10 장 우리나라의 성과관리 제도 - 개인 10.1 개인에 대한 성과관리 제도 10.2 성과정보의 활용 10.3 역량평가
제 11 장 우리나라의 성과관리 제도 - 조직 11.1 조직 성과관리의 이해 11.2 정부업무 성과관리 제도 11.3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
제 12 장 우리나라의 성과관리 제도 - 사업 12.1 재정성과관리 제도 12.2 지방자치단체 사업평가 12.3 제도의 평가 및 방향성
제 13 장 성과관리의 딜레마 13.1 공공영역의 성과는 과연 무엇인가 13.2 측정과 평가의 한계 13.3 환류에서의 한계
제 14 장 성과관리 지평의 확장 - 성과감사 14.1 성과감사의 의의 14.2 성과감사의 유형과 운영 14.3 사후관리 및 의의
제 15 장 성과관리의 미래 15.1 미래의 행정환경 15.2 성과관리의 미래
참고문헌 찾아보기
조경훈 (집필)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졸업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졸업(행정학 석사 및 박사) 경기연구원 연구위원(2017)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 연구분야: 공공조직 및 인사, 성과관리, 공공갈등, 이민다문화정책 등
박형준 (집필)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졸업(행정학 석사) 미국 Florida State University, Askew School 졸업(행정학 박사) 미국 F.S.U. DeVoe Moore Center Research Fellow(2004) 한국행정연구원 규제연구센터 연구위원(2006) 현재: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및 국정전문대학원 교수 성균관대학교 국정평가연구소 소장 연구분야: 제도설계, 신제도주의, 정책분석 및 평가, 정책과정론, 협력적 거버넌스, 정부규제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