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떠한 현상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즉, 복합적이고 복잡한 현상을 과학적으로 익히고 학습하고 그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방법론을 잘 알아야 한다. 학부 저학년 수준에서는 다른 사람들이 먼저 수행한 연구를 비판적으로 읽고 이해하는 작업을 할 때, 방법론적인 검토를 통해 연구에 대한 맥락을 더 잘 이해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학부 고학년과 대학원 수준에서는 직접 조사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조사연구의 절차와 주요 개념, 주의해야 할 사항 등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조사방법론이 바로 그러한 학습을 위해 필요한 과목이다. 이 책은 조사방법론의 이론과 실제를 다루었다. 제1장~제5장에서는 조사방법론의 일반론, 연구의 요소, 연구의 종류와 그에 따른 설계, 조사도구의 특성, 표본추출을 다루었고, 제6장~제8장에서는 설문조사연구에 초점을 두어 설문지 개발, 조사의 실제, 자료 처리를 다루었다. 제9장~제11장에서는 설문조사 외에 알아야 할 연구 유형으로 실험설계연구, 평가연구, 문헌연구를 소개하였고, 제12장~제15장에서는 연구의 활용, 윤리적 고려 사항, 보고 및 발표 방식, 연구 사례를 다루었다. 이 책이 조사방법론의 이론과 실제를 이해하고, 자신의 연구를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제1장 조사방법 일반론 제2장 연구의 요소 제3장 연구 종류 및 설계 제4장 조사도구 제5장 표본추출 제6장 설문조사연구 1: 설문지 개발 제7장 설문조사연구 2: 설문조사 실제 제8장 자료 처리 제9장 실험설계연구 제10장 평가연구 제11장 문헌연구 제12장 조사연구의 활용 제13장 연구윤리 제14장 보고와 발표 제15장 연구 사례
정영일 (집필)
중앙대학교 약학대학(약학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보건학 석사, 박사)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 연구교수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보건환경학과 조교수
이경무 (집필)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이학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보건학 석사, 박사) 서울대학교 임상의학연구소 연구교수 미국 국립암연구소(NCI/NIH) 암역학유전학부 Post-Doc 및 Visiting Scientist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보건환경학과 교수
박지호 (집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이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이학 석사) 미국 Texas A&M University(이학 박사)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Post-Doc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교수
이세윤 (집필)
미국 Brigham Young University(이학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보건학 석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보건학 박사 수료)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 연구원 •현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