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의 한 하위분야로서의 교육철학은 ‘교육’ 현상을 철학적인 관점과 문제의식에서 탐구하고 설명해 나가는 학문분야이다. 교육철학이라는 학문분야를 공부해 나가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목표는 교육철학이라는 학문의 성격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이다. 하나의 학문의 성격을 이해한다는 것은, 그 학문이 어떤 문제를, 어떤 접근방법을 통해 탐구해 들어가며, 그 결과 어떤 내용의 지식체계 또는 이론체계를 형성해 나가는가를 파악해 감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러한 방법론과 이론체계가 갖는 특징과 한계를 올바르게 이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교재는 교육철학의 중심적인 문제와 연구방법론, 그리고 이론체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교육철학의 학문적 성격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두 7개 장으로 구성된 이 교재는, 제1장에서 교육철학의 성격과 기능, 제2장에서 교육철학의 전개와 과제를 살펴본다. 제3장부터 제5장까지는 ‘교육에 대해 철학하기’를 대주제로 교육목적, 교육내용, 그리고 교육방법이라는 소주제를 다룬다. 제6장은 ‘자아실현과 성장’, 마지막 제7장은 ‘교사의 역할’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제1장 인간과 의미, 철학과 교육철학 1.1. 인간과 의미 1.2. 의미부여의 주체로서의 인간 1.3. 의미부여의 타당성과 객관성의 추구 1.4. 의미에 대한 비판적 음미와 탐구로서의 철학 1.5. 교육적 의미체계에 대한 비판적 검토활동으로서의 교육철학
제3장 교육에 대해 철학하기(Ⅰ): 교육목적 3.1. 시험과 학교 3.2. 내재적 목적과 외재적 목적
제4장 교육에 대해 철학하기(Ⅱ): 교육내용 4.1. 이론과 실제 4.2. 흥미와 교과
제5장 교육에 대해 철학하기(Ⅲ): 교육방법 5.1. 실물과 언어 5.2. 정보와 판단, 그리고 교육의 방법
제6장 자아실현과 성장 6.1. 자아탐구의 역사 6.2. 무엇이 아닌 어떻게?
제7장 교사의 역할 7.1. 인공지능과 교사 7.2. 무지의 자각을 통해 학습의 장으로 이끌어 주는 교사 – 소크라테스 7.3. 환경의 조성자로서의 교사 – 루소 7.4. 적성의 발견을 돕는 교사 – 듀이 7.5. 인간 교사의 고유성
조화태 (집필)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문학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교육학석사) • 미국 University of Illinois(Ph.D.) •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 • 저서: 『교육사』(공저), 『교육의 이해』(공저), 『교육고전의 이해』(공저)
박주병 (집필)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문학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교육학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교육학박사) • 현재: 강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저서: 『교육의 본질을 찾아서(교육철학연구 시리즈 2)』(공저), 『교육과 정치: 그 오래고 익숙한 관계(교육철학연구 시리즈 3)』(공저), 『미래교사를 위한 교육학개론』(공저), 『교육과 가치(교육철학연구 시리즈 4)』(공저)
권영민 (집필)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문학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교육학석사) • 미국 Columbia University 교육대학원(Ph.D.) •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저서: 『교육사』(공저), 『교육의 이해』(공저), 『교육고전의 이해』(공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