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보건역학> 교재의 주요 목적은 환경보건학을 공부하는 학생이나 관련 분야 종사자에게 다양한 역학적 개념과 연구방법을 소개하고, 역학이 환경보건 분야에 어떻게 활용 또는 응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교재의 구성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4장에서는 기본적인 역학적 개념과 연구방법론을 소개하였다. 5장에서는 환경(보건)역학의 다양한 연구분야를 환경매체별, 그리고 위해요인별로 나누어 예제와 함께 소개하였고, 6장에서는 환경(보건)역학에서 유용하게 활용되는 연구방법론에 대해 소개하고 예를 들었다. 7장에서는 환경적 위해요인에 대한 노출평가와 인체 시료를 분석함으로써 얻는 생물학적 지표가 활용되는 예를 살펴보았으며, 8장에서는 국가 차원에서 실시하는 생물학적 모니터링에 대해 소개하였다. 9장에서는 환경적 위해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환경성질환의 종류와 감시체계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였고, 마지막으로 10장에서는 최근의 환경적·직업적 집단발병의 사례를 소개하였다.
제1장 역학의 개념 1.1 역학의 정의 1.2 역학의 목적 1.3 역학의 발전 1.4 질병발생의 역학적 개념 1.5 질병발생 스펙트럼과 질병 유행
제2장 건강 및 질병 빈도의 측정과 자료 수집 2.1 비, 분율, 율 2.2 이환율 2.3 사망률 2.4 타당도와 신뢰도 2.5 역학 연구의 자료
제3장 역학적 연구방법론 3.1 기술역학 연구 3.2 단면조사 연구 3.3 환자-대조군 연구 3.4 코호트 연구 3.5 코호트 내 환자-대조군 연구 3.6 패널 연구 3.7 실험역학 3.8 환자-교차 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