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사양에서 기술적으로 가장 중대한 과제는 소비자가 요구하는 품질의 닭고기, 달걀, 그리고 고기를 가능한 한 낮은 생산비로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것이다. 이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양관리자가 사양 대상인 가축의 생애 전반에 걸친 생리적·행동적 특성을 깊이 이해하고, 각 시기별로 필요한 영양과 환경, 건강관리에 대한 세부적인 요구사항을 명확히 파악해야 한다. 가축사양학에서 제시되는 모든 내용은 이러한 사양관리자의 통합적이고 과학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실질적인 지식과 원칙들로 구성되어 있다. ‘가축사양학’은 생물학, 생화학, 가축영양학, 가축번식학, 가축육종학, 농업유전학 등 농업의 기초 학문에 뿌리를 둔 응용학문이다. 그러므로 이 과목에서 다루는 다양한 사양관리 방법은 단순한 기술 습득을 넘어서 동물이라는 생물체의 생물학적 특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러한 과학적 기반 위에서의 이해가 반드시 요구된다. 학습자는 기존의 지식과 방법에 안주하지 않고, 더욱 발전된 사양기술과 관리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는 창의적이고 진취적인 태도를 바탕으로 학문에 임해야 한다. 단순한 암기와 습득을 넘어 문제 해결 중심의 사고방식과 혁신적인 시각을 지닌 사양관리자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탐구심과 학문적 열정이 필요하다. 『가축사양학』은 단순히 이론을 배우는 데 그치는 교재가 아니라, 실제 가축사양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실용적인 지식과 기술을 다룬 책이다. 이 책을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가축에 대한 단편적인 지식이 아니라 생물학적 특성과 사양 환경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체계적인 사고력, 그리고 끊임없이 더 나은 사양 방법을 모색하려는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태도가 필요하다. 결국 『가축사양학』의 학습은 가축을 단순한 생산 도구로만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생명을 가진 생물로서 존중하고 그들의 삶을 이해하려는 태도에서 출발해야 한다. 이러한 자세가 있어야만 진정한 의미에서의 효과적인 가축사양과 지속 가능한 축산이 가능해질 것이다.
제 1 장 가축의 기원과 품종 제 2 장 단위동물의 소화생리 제 3 장 반추동물의 소화생리 제 4 장 가축 사료와 평가 방법 제 5 장 단위동물의 영양과 사료 제 6 장 반추동물의 영양과 사료 제 7 장 사료 효소 제 8 장 육계의 사양 관리 제 9 장 산란계의 사양 관리 제 10 장 모돈과 자돈의 사양 관리 제 11 장 육성돈 및 비육돈의 사양 관리 제 12 장 젖소의 사양 관리 제 13 장 한우 및 육우의 사양 관리 제 14 장 가축의 질병 제 15 장 농장의 환경과 차단 방역
이건일 (집필)
충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축산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농학석사) 덴마크 오르후스 대학원 졸업(농학박사)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 교수
공창수 (집필)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농학석사) 미국 퍼듀대학교 대학원 졸업(농학박사) 현재: 경북대학교 축산학과 교수 저서: 『동물영양학』 등
김민석 (집필)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농학석사)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대학원 졸업(농학박사) 현재: 전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교수
김유용 (집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축산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농학석사)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대학원 졸업(농학박사) 현재: 서울대학교 식품·동물생명공학부 교수 저서: 『동물영양학』, 『양돈과 영양』, 『사료학』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