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학은 사회현상을 과학적으로 접근하여 모순을 밝혀내고 더 바람직한 사회를 이루려고 하는 실천과 실천기술을 제공하는 사회과학의 한 분야이다. 즉 사회복지는 자본주의를 살아가는 한 인간과 공동체가 직면하는 사회적 위험에 대한 공적인 대응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를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본주의가 무엇인지, 자본주의하에서 국가의 역할은 무엇인지, 우리가 살고 있는 공동체가 어떤 모습으로 존재하는지, 복지 정치가 무엇인지를 이해해야 한다. 특히 정치는 어떤 세력이 자신의 이념을 정책으로 관철하는 행위라고 할 때, 복지 정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력관계, 이념, 정책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은 제목에서 보듯이 사회복지에 대한 전반적인 안내서이다. 즉 사회복지학에 접근하려는 사람들에게 사회복지학의 개괄적인 모습을 보여 주고자 하며 또한 사회복지학이 사회과학의 핵심적인 분야라는 관점에서 사회복지학에 대한 좀 더 심층적인 논의를 시도한다.
제1부 관점: 사회복지와 자본주의 제1장 사회복지: 사회적 위험과 권리의 정치 제2장 사회복지와 자본주의: 쇼핑몰과 공동체 제3장 사회복지와 철학: 상이한 철학과 다양한 사회복지
제2부 원리: 사회복지, 정치 그리고 국가 제4장 사회복지와 정치: 탈상품화의 정치와 조세 정치 제5장 사회복지와 정책: 상이한 정책에 대한 시선 제6장 사회복지와 세력: 조직된 시민들의 자기 보호 제7장 사회복지와 국가: 상이한 유형과 복지의식
제3부 운영: 사회복지의 제도와 실천 제8장 사회복지의 구조 제9장 사회복지의 제도 제10장 사회복지의 분야 제11장 사회복지의 실천과 기술
제4부 한국: 사회복지의 현실과 전망 제12장 한국의 복지 정치: 이념, 정책 그리고 세력 제13장 한국의 사회복지, 조직된 시민 그리고 노동 정치 제14장 사회복지사: 사회적 위험에 맞서 싸우는 사람들 제15장 복지국가의 위기와 전망
유범상 (집필)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정치학석사・박사) University of Edinburgh(사회복지학 박사)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행정학과 부교수 주요저술: 『필링의 인문학』, 『이기적인 착한 사람의 탄생』, 『이매진 빌리지에서 생긴 일』, 『한국노동운동의 이념: 이념의 과잉과 소통의 빈곤』, “Welfare Politics and Social Policy of Coal Worker’s Pneumoconiosis in Britain and Korea”, 「영국의 제3의 길과 큰 사회론의 이념과 공동체 구상: 샴 쌍둥이의 차별화 전략과 복지정치」 외 다수
김종해 (집필)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사·석사·박사 현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주요저술: 『사회복지개론』, 『한국 사회복지의 현실과 선택』, 「보육바우처 도입의 문제점」 외 다수
여유진 (집필)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사·석사·박사 현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주요저술: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사회복지 장기비전」, 「주요 OECD 국가의 빈곤율과 경제성장, 사회지출 간의 관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부양의무자 기준과 빈곤사각지대」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