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공이나 직업과 관계없이 자신을 관리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패션 소비에 흥미를 갖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 이 책은 패션에 관심이 있다면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흥미롭고 쉽게 읽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 고, 이 책을 통해 패션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유익한 지식을 습득하게 될 것이다. 우리 교재는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의생활과 패션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매일매일 입는 옷에 대한 실용적인 지식과 점점 더 많은 소비재가 패션화되는 현재의 소비사회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패션 현상과 문화에 대해 학습한다. 제2부는 패션 소재 및 섬유패션산업의 발전과 성장, 쾌적하고 지속가능한 의생활을 위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기초지식에 대해서 학습한다. 제3부는 패션소비자, 패션소비자의 행동, 패션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학습한다. 또한 최근 디지털 시대에 변화되고 있는 패 션소비 현상 및 윤리적 소비, 소비자 보호에 대해서도 학습한다. 『21세기 패션・소비・문화』의 각 장은 개관과 학습목표, 주요용어로 시작하여 그 장의 내용을 예상하도록 했다. 그리고 본문과 함께 제시된 시각자료와 사례 내용에도 유의하며 학습할 것을 당부한다. 각 장의 마지막에는 연습문제를 제시하여 학습내용을 점검하고 객관식 시험문제의 유형을 파악하도록 하였다. 새롭게 소개되는 용어는 전반적인 흐름과 함께 이해하기 바란다. 옷은 하루 24시간 거의 모든 시간에 나와 함께하므로, 새롭게 배우는 지식을 자신의 의생활과 소비 경험에 적용하며 재미있게 학습하기를 바란다.
제 1 부 패션과 문화
제 1 장 옷과 스타일 제 2 장 패션 Ⅰ 제 3 장 패션 Ⅱ 제 4 장 패션과 대중문화 제 5 장 패션과 문화 연구
제 2 부 패션과 소재
제 6 장 패션소재와 패션 제 7 장 패션소재와 산업 제 8 장 패션소재와 의생활 제 9 장 패션소재와 환경
제 3 부 패션과 소비
제 10 장 패션소비자 제 11 장 패션소비자행동 제 12 장 패션소비자행동의 영향 요인 제 13 장 디지털 시대의 패션소비 제 14 장 윤리적 패션소비 제 15 장 패션소비환경과 소비자 보호
손미영 (집필)
• 서울대학교 의류학과(학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박사) • 미국 Parson’s School of Design, AAS Degree • 일본 Ritsumeikan APU 객원연구원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과 의류패션학 전공 교수
권유진 (집필)
• 서울대학교 의류학과(학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석사) • 미국 Iowa State University, Textiles & Clothing(Ph.D.) • 미국 Washington State University 조교수(2007~2011)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과 의류패션학 전공 부교수
박소현 (집필)
•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학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석 · 박사)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과 의류패션학 전공 조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