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현재 디지털 시대에 살고 있으며, 생성형 인공지능의 발달 및 확대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디지털 및 인공지능을 활용하며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기술의 변화는 일상생활을 넘어 사회, 문화, 정책, 교육 전반에 영향을 주고 있다. 디지털 교육은 미래사회 교육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교직 소양으로 신설된 교과목이다. 따라서 본 교과목은 미래 유아교사가 디지털사회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그리고 교사라는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교사로서 디지털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디지털의 이해, 디지털 융합교육, 디지털 활용 교육, 디지털 윤리와 관련한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인공지능 교육 관련 내용도 포함하였다.
제1부 미래사회와 디지털 교육
제1장 미래사회와 디지털 1.1 디지털사회의 특징 1.2 디지털사회의 교육 방향 1.3 정보통신기술과 교육
제8장 디지털 콘텐츠 8.1 디지털 콘텐츠 유형 8.2 디지털 교구 및 교재 8.3 디지털 콘텐츠 품질관리
제9장 에듀테크 교육 공간 9.1 에듀테크 기반 교육 환경 9.2 온라인 교육 공간 9.3 학습 플랫폼
제4부 유아 디지털 교육의 실천
제 10 장 유아와 디지털 교육 10.1 디지털사회와 유아 10.2 유아교육과 디지털 교육
제 11 장 유아교육과정과 디지털 교육 11.1 유아교육과정에서의 디지털 교육 11.2 유아 디지털 놀이
제 12 장 유아교사와 디지털 교육 12.1 유아교사의 직무와 디지털 활용 12.2 유아 디지털 교육과 교사 역할
제 13 장 유아 디지털 교육 환경 13.1 디지털 교육을 위한 환경구성 13.2 유아 디지털 교육 매체 및 콘텐츠 활용
제 14 장 유아 디지털 교육의 실제 14.1 유아 컴퓨팅 사고력의 실제 14.2 유아 디지털 놀이 및 활동 실제 14.3 디지털을 활용한 로보틱스 교육
제 15 장 유아 디지털 윤리교육 15.1 유아 디지털 윤리교육의 필요성 15.2 유아 디지털 윤리교육의 내용 15.3 유아 디지털 윤리교육 사례
김정숙 (집필)
중앙대학교 문학 석사(유아교육학 전공) 중앙대학교 문학 박사(유아교육학 전공)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저서: 『유아교육론』, 『미래사회와 유아교육』, 『유아동작교육』,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영유아 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법』,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등
김용 (집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 석사(초등컴퓨터교육 전공) 고려대학교 이학 박사(컴퓨터교육 전공)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에듀테크학과 교수 저서: 『Practical e-Learning Guidebook』, 『이러닝서비스 운영평가 및 결과 관리』 등
우호성 (집필)
아주대학교 공학 석사(모바일보안 전공) 고려대학교 공학 박사(컴퓨터교육 전공)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에듀테크학과 조교수 저서: 『딥러닝』, 『앱과 코딩(학생용/지도서)』, 『디지털 배움터』 등
정성은 (집필)
중앙대학교 문학 석사(유아교육학 전공) 미국 University of Georgia 박사(유아교육학 전공) 현재: 미국 University of Arizona 유아교육전공 조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