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역사> 과목의 교재인 이 책에서는 우리 국어가 변화해 온 과정을 음운, 문법, 어휘 등의 여러 측면에서 시대별로 살펴본다. 각 강별로 <연습문제>와 <연구문제>를 두었는데, <연습문제>는 본문의 내용을 주의 깊게 읽은 학생이라면 누구나 쉽게 정답을 찾을 수 있는 수준으로 출제하였으며, <연구문제>는 앞으로 좀 더 깊은 공부를 해 보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하여 제공하였다. 책의 맨 뒤에는 <참고문헌>과 <찾아보기>를 실어 학습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제1강 국어사의 연구 방법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 방법 1.3. 언어 변화의 유형 1.4. 국어사 연구의 동향 제2강 국어의 계통 2.1. 언어의 계통적 분류 2.2. 알타이어족 2.3. 국어와 알타이 제어의 비교 2.4. 국어와 일본어의 비교 2.5. 국어의 계통적 위치 제3강 국어의 형성 3.1. 고조선의 언어 3.2. 부여계 제어 3.3. 한계 제어 3.4. 고구려어 3.5. 백제어 3.6. 신라어 3.7. 중세국어 3.8. 국어사의 여러 단계 제4강 문자 체계 4.1. 한문의 정착 4.2. 고유명사 표기 4.3. 이두 4.4. 구결 4.5. 향찰 4.6. 훈민정음 제5강 고대국어 5.1. 자료 5.2. 표기법 5.3. 음운 5.4. 문법 5.5. 어휘 5.6. 향가 해독의 방법 제6강 전기 중세국어(1) 6.1. 중세국어의 성립 6.2. 자료 6.3. 표기법 제7강 전기 중세국어(2) 7.1. 음운 7.2. 어휘 제8강 후기 중세국어(1) 8.1. 문헌 자료의 특징 8.2. 15세기 간행 자료 8.3. 16세기 간행 자료 제9강 후기 중세국어(2) 9.1. 훈민정음 체계 9.2. 표기법 제10강 후기 중세국어(3) 10.1. 자음 10.2. 모음 10.3. 성조 제11강 후기 중세국어(4) 11.1. 조어법 11.2. 곡용 11.3. 특수조사 제12강 후기 중세국어(5) 12.1. 활용 12.2. 첨사 12.3. 문장 구조 12.4. 어휘 제13강 근대국어(1) 13.1. 자료 13.2. 문자 체계와 표기법 13.3. 음운 제14강 근대국어(2) 14.1. 문법 14.2. 어휘 제15강 현대국어 15.1. 문자 체계와 맞춤법 15.2. 음운 15.3. 문법 15.4. 어휘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기문 (집필)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문학박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역임 • 저서: 『국어사개설』, 『국어음운사연구』, 『국어어휘사연구』 등
이호권 (집필)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문학박사) 일본 도쿄외국어대학 객원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연구교수 역임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 저서: 『석보상절의 서지와 언어』, 『중세국어의 이해』, 『두시와 두시언해』(공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