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험생이 줄어들고, 학생들의 학력은 점점 떨어지며… 대학은 소멸 위기에 놓였다
우리 대학들은 어떤 길로 나아가야 할까? 그 해법을 읽고, 묻고, 생각해 본다
한국의 대학들은 위기에 처해 있다. 인구 감소의 직격탄을 맞은 일부 지방 대학은 폐교 위기에 놓였고, 국내 최상위권을 자랑하는 대학이라고 해도 입학생의 학력은 떨어지고, 교육의 품질 유지와 재정 문제 들로 머리가 아프다. 바야흐로 끝없는 양적 팽창으로 인한 오랜 전성기는 끝나고, 한국에도 대학교육과 고등교육에 위기의 시대가 도래했다.
타임머신을 타고 미래를 직접 보고 경험해 본다면 어떨까. 지금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 크나큰 영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마침 우리에게는 멀지 않은 곳에 미래를 내다볼 수 있는 거울이 있다! 우리보다 먼저 그 길을 밟아 본, 세계에서 유일하게 우리나라 대학과 같은 문제로 동일한 고민을 하고 있는 그 나라는, 바로 일본이다. 《다시 대학개혁을 생각한다》는 일본의 대학교육이 처한 상황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며, 해결법을 고심한다. 자, 이제 일본이라는 타임머신을 통해, 우리나라 대학의 나아갈 길을 살펴보자.
틀림없다. 이것은 한국의 대학이 맞닥뜨린 상황이며, 당면한 문제다!
벌써 여러 곳의 대학이 문을 닫았다. 구조조정 중인 곳도 여럿이고, 신입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은 헤아릴 수조차 없다. 한편 학생들은 높은 등록금과 비교해 교육의 품질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복잡한 대학입시는 수시로 이렇게 저렇게 바뀌어 수험생과 학부모, 중등교육 현장을 혼란하게 만든다. 졸업생을 대하는 사회의 시선은 또 어떨까. 수많은 기업과 현장에서는 요즘 대학생들의 학력 저하에 불만이다.
우리나라 대학의 현실 같은가. 한국의 대학이 떠오르지만, 실은 모두 일본 대학교육의 모습이다. 전 세계에 존재하는 2백여 개국 가운데 유일하게 단 한 나라만이 우리나라의 대학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동일한 문제로 비슷한 고민에 빠져 있다. 한발 앞서 우리 대학들이 겪고 있는 문제를 미리 경험하고 있는 그 나라는 바다 건너 일본이다. ‘일본’이라는 국호만 빼면 소름 끼칠 정도로 놀랍게, 일본 대학의 현실은 우리와 똑같다. 모두 지금 우리가 직면한 문제들이고, 오늘날 해결책을 찾고자 애쓰고 있는 과제들이다.
신기하다. 우리나라의 대학에는 미래를 내다볼 수 있는 거울이 있다!
놀랍게도 한국의 대학들은 시간 여행을 통해 미래를 먼저 볼 수 있다. 우리 대학들은 앞날을 내다볼 수 있는 거울을 가진 덕분이다. 거울의 이름은 우리보다 수십 년 먼저 같은 길을 밟아 본 일본이다. 이 책은 일본의 대학교육이 처한 상황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며, 해결 방안을 고심한다. 수험생 감소, 학력 저하, 대학입시, 교육의 품질, 글로벌화, 대학평가… 나라 이름만 가리면 모두 우리나라 대학이 당면한 문제 같은데, 실은 모두 일본의 대학이 겪었고, 겪고 있는 문제들이다. 한편으로는 너무 다행이다. 우리는 ‘일본’이라는 거울을 통해 우리가 풀어야 할 숙제들을 미리 보고 대비할 수 있으니.
여기 있다. 오늘날 한국 대학교육의 나아갈 길을 함께 고민해 볼 수 있는 해법이!
이 책은 3부로 구성되었다. 1부에서는 일본 대학교육의 흐름을 읽고, 2부에서는 대학개혁에 대해 질문하며, 3부에서는 대학교육의 역사를 생각해 본다. 일본의 대학과 고등교육이 처한 현실과 앞날에 대한 책 같지만, 결코 그렇지 않다. 이 책은 우리나라의 대학에 다가올 미래를 미리 보여 준다. 책에서도 일본의 사례가 주로 언급되는 곳곳에 한국의 사례가 함께 등장한다. 두 나라의 대학 구조가 쌍둥이처럼 비할 데 없이 유사한 형태를 취한 까닭이다. 이 책을 통해 일본이라는 거울에 비친 한국 대학의 미래를 읽고, 묻고, 생각하며, 우리 고등교육이 나아갈 길을 함께 고민해 보자.
현재 회원님의 휴대폰번호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한국방송통신대학 출판문화원에서는 회원님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주민등록번호를 취급하지 않고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본인인증 정책을 새롭게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회원님의 휴대폰번호가 필요합니다. 마이룸의 ‘내정보 수정’에서
휴대폰번호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