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 스타일링은 주어진 목적이나 콘셉트에 맞게 관련 요소를 조합하여 패션 이미지를 창출하는 의사 결정 및 기획 과정이다. 디지털 시대의 개인 패션 스타일링은 인공지능과 IT기술의 진화로 소비자 맞춤형 서비스인 패션 큐레이핑의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 이 서비스는 개인의 체형 및 성향,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여 상황과 맥락에 맞는 패션 스타일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의생활을 영위하는 개인 역시 TPO에 맞으면서 자신과 잘 어울리는 스타일을 연출하려면 실루엣을 이루는 의복의 종류, 색채, 재질, 무늬 등 다양한 요소를 이해하고 디자인의 원리에 따라 조화롭게 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패션제품은 착용과 관리가 반복되는데, 그 과정에서 소비자는 잘못된 방법으로 제품을 비효율적으로 관리하거나 품질 손상을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패션제품을 최적의 성능으로 긴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패션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패션관리는 세탁·건조·다림질·정리와 보관뿐만 아니라 용도에 적합하게 착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개념이다. 본 교과목은 합리적인 의생활을 위한 패션관리의 중요성을 이해하며, 패션관리를 위해서 필요한 의류학 관련 기본 지식을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 1 장 패션과 기호, 상징 1.1 패션의 정의와 특성 1.2 기호체계와 패션 1.3 상징적 상호작용과 패션
제 2 장 사회 속의 패션 2.1 패션과 대인지각 2.2 패션과 인상형성 2.3 패션과 사회계층 2.4 패션과 역할
제 3 장 패션과 개인 3.1 패션과 인간행동 3.2 패션과 자아개념 3.3 패션과 개성·동조성 3.4 패션과 성격 3.5 패션과 욕구
제 4 장 패션과 가치 표현 4.1 패션과 가치·태도 4.2 패션과 친환경 이슈
제 5 장 디지털 시대와 패션 스타일링 5.1 디지털 시대의 패션 5.2 디지털 시대의 패션 스타일링
제 6 장 패션 스타일링의 요소 I - 실루엣 6.1 실루엣 6.2 의복의 이해 6.3 액세서리
제 7 장 패션 스타일링의 요소 II - 색 7.1 색채의 이해 7.2 색채 조화의 이해 7.3 배색의 활용
제 8 장 패션 스타일링의 요소 III - 질감 8.1 질감의 이해 8.2 질감의 활용 8.3 무늬의 이해 8.4 무늬의 활용
제 9 장 패션 스타일링의 원리와 활용 9.1 패션 스타일링의 원리 9.2 패션 스타일링의 활용
제 10 장 패션 스타일링의 실제 10.1 패션 성향과 스타일링 10.2 라이프스타일과 스타일링 10.3 옷장 큐레이션
제 11 장 패션관리와 품질 11.1 패션제품의 품질과 패션관리 11.2 패션제품의 품질표시 11.3 패션제품의 소비자 분쟁
제 12 장 패션소재의 종류와 성능 12.1 패션소재의 성능 12.2 섬유의 종류와 성질 12.3 신소재 및 가공 소재의 종류와 특징
제 13 장 패션제품의 세탁 13.1 세탁 전 관리 13.2 얼룩빼기 13.3 세탁
제 14 장 패션제품의 건조와 다림질 14.1 패션제품의 건조 14.2 패션제품의 구김과 다림질 14.3 푸새
제 15 장 패션제품의 보관과 손상 15.1 분류와 정리 15.2 보관 15.3 손상과 예방
•참고문헌 •그림출처 •찾아보기
손미영
서울대학교 의류학과(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박사) 미국 Parson’s School of Design, AAS Degree 일본 Ritsumeikan APU, 객원연구원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과 의류패션학전공 교수 저서: 『글로벌 패션비즈니스』, 『패션비즈니스』, 『패션마케팅』, 『패션리테일링과 머천다이징』, 『글로벌 패션마케팅』, 『21세기 패션마케팅』 외 다수
박소현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석·박사)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과 의류패션학전공 조교수
최선영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동양화과(학사)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미술학부(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석사) 영국 London College of Fashion, Fashion Design & Technology(MA)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박사)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과 의류패션학전공 전임대우 강의교수